포천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포천 석조여래입상
포천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포천석조여래입상(抱川石造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8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기 포천시 어룡동 산19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불상.
내용

높이 2.54m. 1995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해룡사 암자터 부근에 위치해 있다. 한 개의 돌로 주형 광배(舟形光背) · 불신(佛身) · 대좌(臺座)를 만들었다.

부분적으로 풍화의 흔적이 있고 얼굴 부분에 약간의 손상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현재 무릎 아래 부분이 땅속에 묻혀 있어 발 부분과 대좌의 형태는 알 수 없다. 조각 수법은 대체로 고부조(高浮彫: 높은 돋을새김)이다.

나발(螺髮: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에는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둥글고 큼직하게 솟아 있다. 넓적한 얼굴에 코 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거의 감은 듯한 두 눈과 도톰한 입술 등은 생동감 있다.

그러나 눈 · 코 · 입을 포함한 얼굴에서 투박함을 면치 못하고 있어 원만한 얼굴 모습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양 귀는 길어 어깨까지 이르고 있으며 목에는 굵은 삼도(三道)가 표시되어 있다.

불신(佛身)은 얼굴에 비하여 짧고 왜소한 편으로 비례가 맞지 않는다. 그리고 배를 약간 앞으로 내밀고 있다. 양손은 비교적 크다. 왼손은 여원인(與願印: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드리운 모양)처럼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하여 내리고 있다. 오른손은 팔을 들어 어깨에 대고 있다.

불의(佛衣)는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으로 옷주름은 양팔에서 계단식 주름을 이루며 흘러내린다. 가슴 아래에서부터 발목에 이르기까지는 여러 줄의 U자형 옷주름을 그리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유연하게 흘러내리는 U자형 옷주름 양식에서 벗어나 도식화된 느낌을 주고 있다. 원통형의 불신 위에 걸쳐진 불의는 두께가 두꺼워 신체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전혀 균형이 맞지 않는 신체 비례, 도식적인 옷주름, 몸에 거의 붙은 듯이 표현되어 있는 어색한 손, 지방색이 강한 투박한 얼굴, 평판적인 신체 표현 등의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불입상은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