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성자토성 ()

목차
관련 정보
하고성자토성
하고성자토성
건축
유적
중국 길림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满族自治县)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판축법으로 축조된 평지 성곽. 토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满族自治县)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판축법으로 축조된 평지 성곽. 토성.
내용

혼강(渾江) 서쪽의 평지에 자리잡은 육도하자향(六道河子鄕) 하고성자촌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혼강을 따라 10km 정도 거슬러 올라가면 오녀산성(五女山城)에 도달한다. 성 북쪽 1.8km 지점의 상고성자촌에는 고구려의 고분군이 있다.

성의 평면은 방형(方形)에 가까우며, 70∼80년 전 대홍수로 혼강이 범람하면서 성의 동벽과 동쪽 일부분이 유실되었으나 다른 세 성벽의 기초부는 비교적 잘 남아 있는 편이다. 성벽 길이는 성벽 전체가 남아 있는 서벽의 길이는 264m이고, 일부가 유실된 남벽과 북벽의 현재 길이는 212m와 237m이며, 전체가 유실된 동벽은 226m로 추정된다.

성벽은 흙을 층층이 다져 쌓는 판축법(版築法)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기초부는 매우 견고하며, 단면이 노출된 어떤 곳의 층위는 수십층에 달하기도 한다. 성문은 원래 동문과 남문 2개가 있었으나 동벽에 있었던 동문은 홍수로 유실되었고, 남문도 심하게 파괴되었다.

유물은 대체로 서북쪽과 동남쪽에서 출토되었는데, 청동기시대부터 고구려 · 요(遼) · 금(金)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지표 아래 2척 깊이에서 요 · 금대 유물이 출토되었고, 여기에서 다시 1m 정도 판 지점에서 고구려시기의 유물이 다량 출토되고 있다.

고구려의 대표적 와당(瓦當)인 수면문(獸面文) 와당이 1950년대에 출토된 바 있으며, 토기로는 시루의 바닥이나 토기의 구연부 · 손잡이 등이 출토되었다. 철기는 환두도(環頭刀)와 화살촉 등이 출토되었는데, 화살촉의 형식은 산형(鏟形 : 대패모양) · 선형(扇形) · 모형(矛形) 등으로 나뉘며, 오녀산성 출토품과 형식이 비슷하다.

하고성자성은 원래 한(漢)의 현도군(玄菟郡)의 군현 치소(治所)로 축성되었다고 추정하기도 하지만, 아직 성안에서 한대 유물이 출토된 적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초축(初築) 연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고구려 시기의 유물이 다량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 시기에 사용되었던 것은 틀림없으며, 주변에 있는 상고성자촌 고분군의 피장자를 이 성에 거주하던 주민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환인(桓仁) 지역을 초기 고구려의 도읍지인 졸본(卒本)으로 비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고성자성와 주변의 오녀산성을 고구려 초기 도성(都城)으로 볼 수 있다.

즉 하고성자성을 평상시에 거주하던 평지성, 오녀산성을 전쟁 등 비상시에 거주하던 방어용 산성으로 보아, 평지성과 산성이 조합을 이룬 고구려 도성 구조로 파악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고구려전기의 도성(都城)」(차용걸, 『국사관논총』 48, 1993)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王禹浪·王宏北 編, 哈爾賓出版社, 1994)
『중국내의 고구려유적』(이전복 저, 차용걸·김인경 역, 학연문화사, 199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