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윤리학회 ()

학교교육
단체
국민윤리학과 국민윤리교육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이칭
이칭
국민윤리학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국민윤리학과 국민윤리교육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설립목적

국민공동생활의 정신적 · 윤리적 · 이념적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국민들의 가치관 · 윤리의식 및 이념 등의 연구를 통하여 국민윤리학의 발전과 국민윤리교육활동을 진작시킬 목적으로 유달영(柳達永) · 박종홍(朴鍾鴻) · 한심석(韓沁錫) · 김태길(金泰吉) 등이 중심이 되어 1972년 8월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발족 당시에는 국민윤리교육연구회라 하였다. 1973년 학회지 『국민윤리연구』를 창간하였다.1980년에 '국민윤리학회'로 회명을 바꾸었다. 1981년 1월에는 전국 주요 시 · 도에 10개의 지회를 결성하였으며, 1985년 8월에 '한국국민윤리학회'로 학회명을 변경하였다.

1994년 11월에는 중국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고, 동시에 ‘유교공동체문화와 각국의 윤리교육비교’란 주제로 한 · 중 · 일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1995년 10월 ‘유가윤리 사상과 현대사회’란 주제로 한 · 중국제학술대회를, 1997년 7월 ‘유가 전통윤리와 21세기’란 주제로 한 · 중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1994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중국윤리학회와 공동으로 한 · 중윤리학 국제학술대회를 한국과 중국에서 번갈아 가며 개최하고 있다.

2005년에는 학회지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2007년에는 도덕 · 윤리 분야의 학문 영역을 폭넓게 하고자 학회의 명칭을 '한국윤리학회'로 변경하였다. 아울러 학회 소식지의 명칭은 『한국윤리학회보』로 학회지의 명칭도 『윤리연구』로 변경하였다. 2013년에는 영문 학회지 Journal of Ethics를 창간하였다. 2016년에는 제24차 한중 윤리학 국제학술대회를 한국에서 개최하였다. 2024년에는 "과학기술과 윤리"를 주제로 27차 한중 윤리학 국제학술대회를 중국 북경에서 개최하였다.

현황

단행본으로 대학교양 국민윤리 교재 『국민윤리』, 부교재 『정치교육』및 『현대사회와 윤리』등 10여권을 간행하였다. 또한 대외홍보와 회원동정, 학계의 동향파악을 위하여 소식지 『국민윤리학회보』를 발행하고 있으며, 학회 주요 실적과 현황을 담은 『한국국민윤리학회요람』도 펴냈다. 아울러 학회지 『윤리연구』를 발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윤리학회 홈페이지(https://www.kethics.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