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 종합조사보고서 ( )

목차
민속·인류
문헌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현 문화관광부)에서 간행한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 조사 보고서. 조사보고서.
목차
정의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현 문화관광부)에서 간행한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 조사 보고서. 조사보고서.
내용

B5판. 양장본. 1969년부터 1981년까지 각 시·도별로 간행하였고, 1982년부터 1987년까지는 분류별로 간행하였다.

제1책은 전라남도편(1969), 제2책은 전라북도편(1971), 제3책은 경상남도편(1972), 제4책은 경상북도편(1974), 제5책은 제주도편(1975), 제6책은 충청남도편(1976), 제7책은 충청북도편(1977), 제8책은 강원도편(1978), 제9책은 경기도편(1978), 제10책은 서울편, 제11책은 평안남북도·황해도편(1980), 제12책은 함경남북도편(1981)으로 이상 12권은 각 시·도별의 지역적인 민속종합조사보고서이다.

다음 제13책은 농악·풍어제·민요편(1982), 제14책은 무의식편(巫儀式篇, 1983), 제15책은 향토음식편(1984), 제16책은 주생활편(住生活篇, 1985), 제17책은 의생활편(衣生活篇, 1986), 제18책은 예절편(1987)으로 간행되었다. 12책까지는 지역별 조사인 데 비하여 제13책 이하는 분류별 조사보고서로 되어 있다.

1권에서 12권까지의 지역별 기초조사는 한국문화인류학회에서 위촉을 받아 조사단을 해마다 별도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그 저자는 한국문화인류학회의 조사단이 되며, 편집도 처음에는 이 조사단이 하다가, 1975년 문화재연구소와 그 예능민속연구실이 생긴 다음부터 편집은 여기에서 맡게 되었다.

이 조사사업과 간행기획은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신인 한국민속관이 1966년에 개관되면서 이 기관에서 시작되었다. 전통문화가 서구화 바람에 밀려 급속히 소멸되어가던 당시의 상황에서, 우선 박물관으로서의 연구기능의 하나로 그 조사와 기록보존이 목적이며 동기였다.

그러나 당시 한국민속관은 연구·조사 인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조사사업은 민속학자들의 모임이었던 한국문화인류학회에 위촉하게 되었다. 제13책 이하는 위 12책의 지역별 조사결과를 다시 분류별로 정리하려는 기획으로서, 문화재연구소에서 관계 전문학자들에게 위촉하여 현지조사를 진행시켰으며, 사업의 추진이나 편집자는 예능민속연구실이 담당하였다.

12책의 편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제1편 사회는 1장 부락생활, 2장 가족 및 친족생활, 3장 통과의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편 민간신앙은 1장 가족 및 부락신앙, 2장 무속신앙, 3장 점복 및 주술, 4장 풍수, 5장 신흥종교, 6장 민간의료 및 금기이다.

제3편 산업기술은 1장 농업, 2장 축산, 3장 양잠, 4장 수산, 5장 수렵 및 채집이다. 제4편 의·식·주는 1장 의생활, 2장 식생활, 3장 주생활이며, 제5편 민속예술은 1장 음악과 무용, 2장 연희, 3장 민속공예이며, 제6편 세시풍속 및 놀이는 1장 세시풍속, 2장 민속놀이이며, 제7편 구비전승은 1장 민요, 2장 설화, 3장 수수께끼·속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체재 및 내용은 매년 꼭 일정하지는 않다. 예컨대, 구비전승에 방언이 포함된 책도 있고 제외된 책도 있다. 조사단은 매년 6월 전까지 결성이 되면 먼저 질문지 조사와 조사지점 선정 및 그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여름방학 때마다 약 20명의 각기 전문분야의 조사단원들이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뒤로는 각 조사반마다 실정에 따르는 보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연말에 보고서가 수합되고, 다음해에 그것이 인쇄되었다. 따라서, 현지조사라고 하여도, 예컨대 세시풍속처럼 그 모두가 실제의 관찰기록은 못 되고, 지방노인들과의 면담조사기록도 많은 셈이다. 이 책은 민속문화의 전 분야에 대해서 10여 년에 걸쳐서 조사한 보고서이기 때문에, 각 편과 장의 조사자가 꼭 일정할 수가 없어서, 자연 일관성이 결여된 면들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광복 후 가장 장기간에 걸쳐 추진되었고, 규모가 컸던 조직적인 학술조사사업의 하나이다. 그 뒤로도 급격한 소멸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민속문화의 기록 보존물로서, 앞으로도 시간이 갈수록 더욱 학술자료집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를 전후한 일제 총독부의 기획 민속조사자료가 많았던 데에 비하여, 이것은 1970년대를 전후한 무렵의 자료로서 질·양·성과면에서도 전자를 능가하는 자료집이라 할 수 있다.

집필자
장주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