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유찰 ()

고전산문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집의 집안 사람들 사이에서 주고받은 한글편지를 모아 엮은 서간집. 한글편지.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집의 집안 사람들 사이에서 주고받은 한글편지를 모아 엮은 서간집. 한글편지.
개설

총 18편으로 이병기(李秉岐) 편주의 『근조내간선(近朝內簡選)』에 수록되어 있다. 그 원본의 소재는 알 수 없다.

이집은 영조 때 사람으로 그의 아들 병건(秉建), 손자 산중(山重)·석중(石重)·해중(海重), 증손 규영(奎永)과 그 밖에 그들의 부인들이 상하·내외 척당간에 쓴 편지로, 부녀·모자·모녀·부부·조손·옹서간 등 여러 경우가 있는 까닭에 마치 편지투의 구실을 하고 있다.

내용

내용은 처음에 이집과 부인 유씨(兪氏) 사이에 오고간 2편이 있는데, 유씨는 바로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외할머니가 된다. 다음은 이집의 아들 병건이 그 부인에게 쓴 편지이고, 다음은 병건의 아들 산중이 그 어머니에게 쓴 것이다.

다음은 산중의 부인 조씨(趙氏)가 40세가 되는 그믐날 밤에 외지에 있는 아들에게 쓴 모정의 편지로, 오언율시와 그 풀이까지 옆에 쓴 것으로 당시 부인들의 한묵(翰墨) 실력을 엿볼 수가 있다. 그 밖에 시할머니·외손자·종질부 등의 편지가 있는데, 그 시기가 명확하고 신상을 족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한글편지의 전통적 서식과 문장에 대한 좋은 본이 될 뿐 아니라, 전대의 생활과 풍속, 제도가 세세히 반영되어 있어 문헌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근조내간선(近朝內簡選)』(이병기 편주, 국제출판사, 1948)
『언간(諺簡)의 연구(硏究)』(김일근 편저, 건국대학교출판부, 198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