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마산 한천사 (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한천사
예천 한천사
불교
유적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주마산(走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한대사(寒大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주마산(走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678년(문무왕 18)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의상이 영주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할 때 기둥이 넘어졌다. 그 이유가 지리적 여건 때문이라고 본 의상은 소백산 남쪽 기슭에 있는 주마산의 말머리를 진압하기 위해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조선 중기까지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으며, 1803년(순조 3) 근천(謹天)이 법당을 중건하였고, 1808년 불량계(佛糧契)의 도움을 받아 선당(禪堂)을 중건하였다. 1932년 주지 취운(翠雲)이 요사채를 중건하였고, 1934년 주지 덕기(德奇)가 법당을 중수하였다.

이 절은 원래 한대사(寒大寺)라고 불렸던 사찰로 불량계 · 등촉계(燈燭契) · 위선계(爲先契) 등을 통하여 사찰의 발전과 수행을 도모했던 대표적인 곳이며, 지금도 그에 관련된 서문(序文) 등이 남아 있다. 그러나 6·25전쟁 때 전소되고 근년에 세운 요사 2동과 법당인 유리광전(瑠璃光殿:藥師殿) · 산신각 등의 당우들만이 있으며, 옛날의 석축도 다 헐리고 터만 남아 있다.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는 1980년 보물로 지정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1992년 보물로 지정된 금동 자물쇠 및 쇠북과 197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삼층석탑이 있다. 이 중 철불은 높이 1.53m의 약사여래로 8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865년(경문왕 5)에 건립된 도피안사(到彼岸寺)의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다 그 연대가 더 오래되고, 우아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 이 불상과 같은 때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3.56m의 삼층석탑은 전형적인 신라 후대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내 고장 예천』(예천군, 1981)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