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안채 입구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안채 입구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었던 대한제국기 제27대 순종의 장인인 윤택영이 건립한 재실.
이칭
이칭
제기동정규엽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기동해풍부원군윤택영재실(祭基洞 海豊府院君 尹澤榮 齋室)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민속문화유산(1977년 09월 05일 지정)
소재지
서울 중구 퇴계로34길 28, 일원 (필동2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었던 대한제국기 제27대 순종의 장인인 윤택영이 건립한 재실.
내용

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지금은 남산골 한옥마을로 이건하였다. 몸체 뒤 한단 높은 터에 사당이 있어 순종 때 부원군 윤덕영(尹德榮)이 순종의 제사행차에 불편을 덜기 위해 재택(齋宅)으로 지은 것이라 한다.

이 관계로 이 동리 이름을 제기동(祭基洞)이라 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건축자재는 경운궁(慶運宮)을 헐 때, 구제목을 이용한 것으로 홍송(紅松)이라 한다.

집의 배치는 길상문자형인 元자형이다. 一자형 사당채를 제일 안쪽 높은 터에 두고, 그 앞 남쪽 한 단 낮은 터에 元자의 兀형 몸체를 두어 전체적으로 元자형을 이룬다. 안채는 一자형의 서쪽 끝에 부엌(2×2)을 두고, 그 동측에 안방(2×1.5), 다음에 대청(3×1.5)을 두어, 동쪽의 사랑방 누마루와 연결되어 있다.

대청 동쪽의 사랑방은 2×1.5 크기이고, 이의 동쪽 끝이 누마루로서 1×2 크기이다. 안방 앞 퇴의 남측으로 뻗은 兀의 ㄴ은 제일 위쪽에 누마루 1칸, 방 1.5칸 벽장과 함실아궁이 반칸, 방 1칸, 변소 1칸(현재 광으로 개조)으로 끝난다.

변소 1칸의 서쪽으로 꺾인 곳에 중간문 1칸, 문간방 1칸(현재 광), 광 1칸을 두었다. 兀의 동쪽 ㄴ은 대청 동측 칸의 남쪽에 방 2칸을 두고 그 남쪽에 방 2칸, 방 1칸을 두었다. 남쪽 제일 끝에 놓이는 방 동쪽으로 꺾인 곳에는 마루 2칸, 방 1칸을 두어 마무리하였다.

兀형 평면의 중앙이 가운데 마당이 되는데, 전면 동서 행랑채 벽선을 따라 담장을 치고, 일각대문을 두어 가운데 마당으로 드나든다. 안채와 사랑채는 장대석 기단 위에 네모뿔대의 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다. 가구(架構)는 일고주오량이며, 굴도리, 팔작기와집이다. 사랑채는 부연을 단 겹처마이며, 나머지는 홑처마이다.

참고문헌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