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통사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지방에 있었던 통역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지방에 있었던 통역관.
내용

중앙의 경통사(京通事)와 대비된다. 조선시대 통역관의 양성은 중앙에서는 사역원(司譯院), 지방에서는 각 지방에 있는 역학원(譯學院)에서 맡았다.

어학으로는 한어·여진어·일본어가 주축이 된다. 한어역학원은 평양·의주·황주 등에 있었으며, 여기에서는 한학생도를 각각 30인씩 양성하고 있었다. 여진어역학원은 의주·창성·북청·이산·벽동·위원·만포 등에 설치되었으며, 각각 5∼10인을 양성하였다. 왜학역학원은 제포·부산포·염포 등에 있었으며, 각각 6∼10인을 양성하였다.

이들 지방역학원에서 배출된 통역인들이 향통사이다. 이들은 사신의 급이 낮은 거추(巨酋)라든지 대마도도주가 보낸 사신들을 수행하면서 통역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왜인·야인들과 인삼 등을 밀매하여 부작용을 일으켜 이를 법으로 금지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전록통고(典錄通考)』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집필자
김용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