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인수(仁叟). 할아버지는 수군절도사 허정(許晶)이며, 아버지는 허성(許聖)이다.
조현명(趙顯命)의 추천으로 선전관에 오른 뒤, 1770년(영조 46) 영종진방어사(永宗鎭防禦使)·황해도수군절도사를 거쳐 여주목사가 되었다.
이 때 선정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로부터 그 청덕(淸德)에 대한 칭송이 자자하였으나 환곡미(還穀米)를 남김없이 지급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776년 재기용되어 정주목사로 있을 때 흉년을 당하였는데, “내가 차라리 조정에 죄를 지을지언정 차마 백성들이 죽어가는 것을 볼 수 없다.” 하고 환곡을 모두 풀어 구제한 까닭에 다시 파직당하였다.
그 뒤 김해부사·장단부사·나주토포사(羅州討捕使)·전라좌수사·내금위장 등을 역임한 뒤, 1789년(정조 13) 신설된 장진부를 맡아 개척사업에 공을 세웠다.
이후 회령부사·함경도남병사를 지낸 다음 1795년 금위중군(禁衛中軍)·오위도총부부총관으로 있다가 이듬해 병사하였다.
지방관으로 있을 때 백성을 애호함이 두텁고 죄인을 다룸에 있어서도 함부로 하는 예가 없어 주민들로부터 ‘허불(許佛)’이라 불렸으며 40여년 관직에 있었지만 재물에 뜻이 없어 죽은 뒤 장례를 치르기 어려울 만큼 청빈하였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