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만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만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석인본. 1922년 손자 균식(均殖)이 편집하였으며, 문인 고석진(高石鎭)의 교정을 거쳐 1965년 증손 녹구(祿求)가 간행하였다. 전라남도 장성군 변시연가(邊時淵家)의 산암문고(汕巖文庫)에 있다.

권두에 최영조(崔永祚)의 서문과 1892년(고종 29)에 쓴 자서가 있고, 권말에 김기택(金基澤)과 족손 균항(均恒)·녹구 등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주역서괘(周易序卦), 소(疏) 1편, 권5·6에 서(序) 8편, 잡저 9편, 기(記) 1편, 발(跋) 3편, 잠(箴) 9편, 명(銘) 3편, 서(書) 4편, 가(歌) 3편, 사(詞) 1편, 부(賦) 2편,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는 『심역』의 도입부에 해당하는데, 「소자천지사상도(邵子天地四象圖)」·「삼팔정농용도(三八政農用圖)」·「구징도(咎徵圖)」 등을 포함한 40여 항의 도식과, 이에 대한 해설인 「심역론(心易論)」·「오경총론(五經摠論)」·「사서합론(四書合論)」·「예론(禮論)」·「악론(樂論)」 등이 실려 있다.

「주역서괘」는 인간의 감각작용을 분석한 「애(愛)」·「희(喜)」·「구(懼)」 등과 『주역』의 64괘에 대한 선현의 학설을 비교, 해석한 것으로, 동양철학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이 밖에 유학의 기본교재에 관하여 논한 「예기서(禮記序)」·「대학문대(大學問對)」·「중용증연(中庸增演)」 등과,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난 뒤 국정전반에 걸친 부조리를 신랄하게 지적하여 지도층의 경각심을 일깨운 「임오군란후의상소(壬午軍亂後擬上疏)」 등이 있다.

또, 국한문혼용체로 된 가사로, 국문학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는 「백수가(白首歌)」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