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홍와실기
홍와실기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 의병장, 노사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 의병장, 노사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85년(고종 22) 10대손 동현(東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석(鄭(氵+奭)0x9A61) · 정환주(鄭煥周)의 서문이, 권말에 10대손 기현(冀鉉) 등의 발문 4편이 있다.

권1은 시 5수, 서(書) 2편, 명(銘) · 잠(箴) · 서(序) · 제문 · 행장 각 1편, 잡저 4편, 권2는 부록으로 세계원류(世系源流) · 연보 · 가학도(家學圖) · 가장 · 행장 · 묘갈 · 제문 · 녹(錄) · 지(誌) · 설(說) · 전(傳) · 기(記) · 문(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書)는 안부를 묻고 간단한 용건을 적은 것이다. <여우참봉서 與禹參奉書>는 우문명(禹文命)에게 보낸 서찰로, 그의 학문을 높이 치하하고 학문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는 내용이다.

<서시육인명 書示六人銘>은 오장(吳長) · 박부(朴榑) · 김연조(金延朝) 등 의병에 참가한 6인에게 마음에 새겨두어야 할 경구들을 적어준 것으로, 대개 ‘액불경(阨不驚)’ · ‘애불편(愛不偏)’ 등 전쟁터에서 처세하는 마음가짐을 말하였다.

<원류초유사김공성일통열읍문 願留招諭使金公誠一通列邑文>은 초유사 김성일이 남긴 업적을 열거하고, 그가 경상좌도관찰사로 이임(移任)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민회(民會)를 소집하자는 내용으로 각 고을에 보낸 통문(通文)이다.

서(序) 1편은 저자가 남계서원 원장으로 있을 때 조례와 학규를 개편하기 위하여 취지를 설명한 <남계서원경임안서 藍溪書院經任案序>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