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구층암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화엄사 구층암 석등
구례 화엄사 구층암 석등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고려전기 8각 석등.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엄사구층암석등(華嚴寺九層庵石燈)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6년 02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황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고려전기 8각 석등.
내용

전체 높이 244㎝. 198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석등은 현재 천불전 앞에 있으나 원래는 구층암 어귀의 요사채 앞에 있는 삼층석탑 곁에 있었다고 한다. 석등 앞에는 길이 89㎝, 너비 50㎝, 높이 27㎝의 장방형 배례석 놓여 있다. 배례석의 옆면에는 안상(眼象)이 조각되어 있고, 윗면에는 화방이 조각된 화문이 장식되어 있다.

석등은 현재 기단부의 하대석 · 간주석(竿柱石) · 상대석 · 화사석(火舍石) · 옥개석 · 상륜부(相輪部)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는데, 간주석과 화사석은 유실되고 없었던 것을 1965년 복원하면서 새로 만들어 넣었다.

지대석과 하대석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지대석은 8각이며 각 면에 안상이 있고 윗면에 1단 각형이 새겨져 있다. 하대석은 원형이며 8엽의 단판 연화문이 돋을새김되어 있고, 그 위에 1단 각형을 두고 간주석을 올려놓았다.

간주석은 8각으로서 평면처리 되었으며, 상대석은 8엽의 단판 앙련으로서 윗면에 2단의 각형 굄을 하여 화사석을 받치고 있다. 화사석은 사방에 네모난 구멍을 뚫었으며 그 밖에 별다른 조각은 없다. 옥개석은 8각으로서 우동마루가 뚜렷하나 처마와 귀꽃이 없이 밋밋하게 처리되었으며, 특이하게 옥개석 윗면에 8엽의 연화문이 복련(覆蓮)으로 조각되어 있다. 상륜부는 모두 유실되고 보주만 남아 있다.

이 석등은 비록 간주석과 화사석이 유실되어 근래에 새로 만들었으나 다른 부재는 완전한 상태로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등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석등의 조성 연대는 구층암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과 같은 시기인 고려 전반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구례군문화유적학술조사』(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구례군, 1994)
『문화재도록』도지정편(전라남도, 199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