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극연의 ()

목차
관련 정보
황극연의
황극연의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민곤이 유가의 정치철학에 관하여 논술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민곤이 유가의 정치철학에 관하여 논술한 유학서.
내용

1책. 필사본. 권두에 저자의 자서와 범례가 있다.

자서에는 ‘전사헌부지평(前司憲府持平)’이라고 씌여 있으나 그의 유집(遺集)인 ≪임은집(林隱集)≫ 권16에 의하면, 저자가 보령현감으로 재임하고 있을 때 저술한 것으로, 규장각도서는 영조에게 바친 친필본이다.

이 책은 ≪서경≫ 홍범편(洪範篇)의 황극(皇極)에 관한 해설서로, 고래로 통치자의 정치적 표준이 되어 온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우(禹) 임금이 창안하였고 기자(箕子)가 이를 연역(衍繹)하여 무왕(武王)에게 전해준 것으로 알려져왔다.

체재는 송나라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를 본떴으며, 채침(蔡沈)의 ≪서경집전(書經集傳)≫ 설(說)을 원문 아래에 싣고 경(經)·사(史)·자(子)·집(集)에서 발췌한 선유(先儒)들의 학설을 소개하면서 간혹 저자의 견해도 언급하였는데, 특히 ‘곧음[直]’을 통치자의 최고이념으로 제시하면서 영조에게 도덕정치를 촉구하였다.

조선시대 나라를 다스리는 큰 원칙이 집약된 것으로 인식되어진 황극의 개념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는데, 특히 홍경모(洪敬謨)의 ≪홍범연기(洪範衍奇)≫, 우여무(禹汝楙)의 ≪홍범우익(洪範羽翼)≫, 이현일(李玄逸)의 ≪홍범연의(洪範衍義)≫, 최세진(崔世珍)의 ≪황극경세설(皇極經世說)≫, 이순(李純)의 ≪황극내편보해(皇極內篇補解)≫, 서명응(徐明膺)의 ≪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 양성지(梁誠之)의 ≪황극치평도(皇極治平圖)≫ 등이 알려져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고, ≪임은집≫을 1983년 문중에서 영인, 간행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