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는 삼회장과 반회장이 있다. 삼회장은 저고리의 깃·끝동·겨드랑이·고름이 다른 색인 것을 말하며, 이를 삼회장저고리라 하여 젊은 부인이나 처녀들이 입었다.
반회장은 저고리의 깃·끝동·고름만 다른 색인 것을 말하며, 이를 반회장저고리라 하여 나이가 좀 많은 여인들이 입었다. 회장은 우리 상고시대의 복식 중 포(두루마기)나 유(襦 : 저고리) 또는 상(裳 : 치마)에 있었던 선(襈)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선은 처음에 재봉의 기술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자연발생적인 것으로서, 경사(經絲)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 부분을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이것이 점차 발달하여 필요 이상의 장식적 요소가 첨가되는 가운데 색다른 딴 헝겊을 덧붙이게 되어, 필경 독자적인 선으로 완성된 것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이것은 고대 동양인의 복식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중국의 남녀 포류(袍類)에서도 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것도 아니고, 더욱이 우리 회장저고리에서와 같이 아기자기한 아름다운 것까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선은 치마에 있어서는 스란단[膝襴緞]이 되어 스란치마·대란(大襴)치마를 형성하는데, 이 ‘스란’은 수란(繡襴)이기도 하여 여러 문양을 수 또는 금박(金箔)하여 이를 치마 아랫단에 덧붙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삼회장저고리에 스란치마 차림은 곧 우리 한복의 성장(盛裝)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