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유교
개념
살아있는 사람의 이름인 명(名)에 대비해 공경의 차원에서 죽은 사람의 생전 이름을 피하는 행위 또는 생전의 이름을 가리키는 일반용어.
목차
정의
살아있는 사람의 이름인 명(名)에 대비해 공경의 차원에서 죽은 사람의 생전 이름을 피하는 행위 또는 생전의 이름을 가리키는 일반용어.
내용

살아있는 사람의 이름을 명(名)이라 함에 대한 말이었는데 후에는 생전의 이름 그 자체를 가리켰다.

이것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예기(禮記)』「곡례(曲禮)」에는 졸곡(卒哭)을 지낸 뒤에 비로소 휘한다든가, 두 글자로 된 이름은 한 글자만 휘한다든가, 조정에서는 사사로운 휘는 하지 않는다는 등 죽은 자에 대한 기휘(忌諱), 즉 피휘(避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산 사람에 대한 휘, 즉 생휘(生諱)의 풍습은 진(秦)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는데, 진시황(秦始皇)의 이름인 정(政)은 정(正)으로 결필(缺筆)되었다.

휘를 하는 방법으로는 다른 글자로 바꿔쓰는 것(代字), 글자를 고쳐 쓰는 것(改字), 그 글짜를 빼고 쓰는 것(缺字), 그 글자에서 획을 더는 것(缺劃), 등의 방법이 쓰였으며, 이것 때문에 관명(官名) 지명(地名) 물명(物名) 등이 개폐되는 일이 자주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기의 죽은 부모나 조상, 역대의 임금의 이름, 우리나라의 선현은 물론 중국 고대의 공자(孔子)맹자(孟子)를 비롯한 역대의 선현을 휘하였다. 삼국시대의 금석문(金石文)을 비롯해여 그 후의 사서(史書) 등에서 피휘 결필한 흔적이 많다.

신라(新羅) 문무왕릉비(文武王陵碑)에는 세운 날짜를 이십오일경진건비(二十五日景辰建碑)라고 기록되어 있고, 숭복사비문(崇福寺碑文)에는 보력경오춘(寶曆景午春)이라고 되어있다. 이 경진(景辰)과 경오(景午)는 당(唐)나라 고조(高祖)의 아버지 병(昞)의 음을 피하기 위해 병(丙)자를 경(景)자로 바꾼 것이다.

우리나라 임금을 휘한 것으로는 고려의 봉암사(鳳巖寺) 정진대사탑비문(靜眞大師塔碑文)의 상령문호양반급승관(上領文虎兩班及僧官)에서 처음 보이는데 문호(文虎)는 문무(文武)의 뜻으로 고려 혜종(惠宗)의 휘 무(武)를 피해 호(虎)로 쓴 것이다.

참고문헌

『예기(禮記)』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