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회화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내용

197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406㎝, 가로 475㎝. 1693년(숙종 19)에 제작된 흥국사대웅전후불탱은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1688년. 보물, 1987년 지정)와 가장 많이 닮은 작품이다. 그러나 흥국사대웅전후불탱은 가로가 70㎝나 더 넓어 세로 구도가 아닌 가로 구도라는 점이 쌍계사영산회상도와 다르다.

이와 더불어 본존불이 화면에 비하여 작아지고 보살 등 협시들이 상대적으로 커졌기 때문에 협시의 수는 크게 많아지지 않았다. 팔부중과 분신불이 각각 2구씩 늘었을 따름이다. 4보살·6제자 등은 동일하다.

정묘한 키형 광배[箕形光背]를 배경으로 결가부좌를 취하고 있는 이 본존불은 뾰족한 육계(肉髻)나 계주(髻珠) 그리고 구슬처럼 표현된 나발까지도 쌍계사영산회상도와 흡사하다. 그리고 둥글고 풍만한 얼굴, 작고 부드러운 눈·귀·코·입과 이마의 특이한 머리카락 그리고 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벗은 풍만한 상체 등도 쌍계사영산회상도와 비슷하다. 그러나 다소 경직되어 원만한 면에서는 흥국사후불탱이 약간 떨어진다. 이것은 보살이나 협시들에게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불화의 특징은 색채이다. 붉은색의 경우 약간 탁한 연홍색이고 머리 광배[頭光]의 녹색이 지나치게 광택 나는 녹청색이어서 색이 튀는 경향이 있는 등 은은하고 밝은 맛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꽃무늬나 옷주름선 등에는 금선(金線)이나 금채(金彩)를 구사하여 한결 고상하고 품위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 이것이 이 불화의 우수성을 더해주는 요체가 아닌가 한다. 이처럼 이 불화는 원만한 형태와 고상한 색채의 조화로 17세기 후반기의 걸작으로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흥국사의 불교회화」(김승희,『미술사학지』1,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