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각당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현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현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28년 교우 조긍섭(曺兢燮)·문원만(文元萬)과 아들 중후(中厚)·관후(觀厚)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의 서문이, 권말에 하겸진(河謙鎭)과 이정기(李定基)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51수, 서(書) 15편, 제문 4편, 권2는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만송정(晩松亭)」·「지용화산(至龍華山)」처럼 서정성이 강한 작품이 있는 한편, 「만사미헌선생(輓四未軒先生)」을 비롯하여 장복추(張福樞)·전낙성(全洛成)·권중환(權重煥)·홍재수(洪在守)·노기필(盧基弼) 등에 대한 만시가 주종을 이룬다.

대체적으로 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성실하고 굳건한 삶의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많은 만시들은 사우(師友)들의 덕망과 학식을 진솔하게 기리고 그들에 대한 애틋한 애정과 추념의 정을 담백하게 읊고 있다.

서(書)는 스승 장복추, 교우 이종기(李種杞)·장승택 등에게 보낸 것으로 사우들과의 두터운 우의와 흠모의 정을 담고 있으며, 그의 고매한 인격과 높은 학식이 엿보인다. 제문은 이홍석(李洪錫)·김내화(金乃華) 등을 조상한 글이다.

부록에는 아들 중후가 쓴 가장, 한말의 문장가 조긍섭이 쓴 행장, 김도화(金道和)가 쓴 묘지명, 공석규(孔錫圭)가 쓴 제문, 기타 묘갈명, 만장(輓章), 저자의 유적에 대한 상량문·기(記)가 있다.

그 밖에 장복추·이종기·장승택 등이 저자에게 보낸 편지를 모은 「사우서독(師友書牘)」 등이 실려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