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박지 태극문 편병 ( )

목차
관련 정보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 15세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粉靑沙器 剝地太極文 扁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6년 01월 17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15세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
개설

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둥근 모양의 몸통 양면을 눌러서 납짝하게 만든 편병으로, 전체적으로 양감이 있다. 무게중심이 몸통의 아랫부분에 놓여 있어 안정감을 준다.

내용

어깨와 몸통 부분에 백토를 분장(粉粧)한 후, 어깨 부분에 국판문대(菊瓣文帶)를 둘렀다. 몸통 부분은 앞뒷면과 양 옆면의 4개 문양대로 나뉘었는데, 앞뒷면에는 박지(剝地)와 조화(彫花) 기법을 사용하여 중앙부에 태극문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새겼다. 양 옆면은 다시 3개의 문양대로 구획한 후 동일한 기법으로 추상문(抽象文)과 연판문(蓮瓣文)을 새겼다. 편병을 분장한 백토는 두께가 얇으며 농담의 차이가 뚜렷한 편이다. 옅은 갈색 기운이 감도는 회청색 계통의 분청유약이 얇게 입혀졌는데, 부분적으로 가는 빙렬이 있으나 광택은 은은한 편이다. 굽은 밖으로 약간 벌어진 다리굽 형태로, 굽 접지면의 유약을 훑어내고 모래를 받치고 구웠다.

특징

전체적으로 백토의 두께가 얇으며 농담의 차이가 뚜렷한 편인데, 이와 비슷한 예로 호림박물관 소장의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국보, 1974년 지정)과 분청사기 조화태극문 편병이 있다. 문양의 기법과 유약, 태토 등이 서로 비슷한 것으로 보아 같은 가마의 작품으로 보인다.

의의

독특하고 대담한 문양의 구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이 시기의 분청사기에 태극문양이 등장하는 것은 『주역(周易)』을 중시한 성리학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닐까 짐작된다.

참고문헌

『호림박물관 소장 국보전』(호림박물관, 200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