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 )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후기에 제작된 청자 매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靑磁 象嵌 ‘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6년 01월 17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제작된 청자 매병.
개설

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몸통의 윗면에 ‘德泉(덕천)’명이 흑상감되어 있는데, 덕천고(德泉庫)는 1298~1403년 사이에 존속된 관청이므로 이 매병은 이 시기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내용

공 모양을 한 몸통의 윗부분이 크게 강조되고, 아랫부분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매병이다. 그러나 그 비례가 어느 정도 유지된 점으로 미루어보면, 이 매병이 이러한 유형의 매병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깨와 몸통의 윗부분에는 흑백상감의 연판문대(蓮瓣文帶)와 변형된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가 둘려 있고, 몸통의 아랫부분에는 연판문대가 백상감되었다. 몸통의 중앙부에는 연꽃이 활짝 피고 수양버들이 늘어진 물가의 풍경이 흑백상감되었다. 태토는 비교적 정선되었으나 기면에 잡물이 군데군데 있는 것으로 미루어 갑발(匣鉢) 없이 구워 예번(例燔)한 것으로 보인다. 광택이 은은하고, 작은 빙렬이 있다. 굽은 평저(平底)인데 굽바닥을 군데군데 깎아내고 모래를 받쳐 구웠다.

특징

이 청자의 변형된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와 파초연화문, 유문(柳文)의 형태가 고려 상감청자의 기본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15세기 분청과 구분된다. 그러나 문양에서 특히 물결이 크게 강조되었는데, 이는 이 시기 상감분청사기 문양의 일반적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기형과 문양, 제작기법 등의 면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청자 상감유연문 덕천고명 매병(靑磁 象嵌柳蓮文 德泉庫銘 梅甁)과 더불어 말기 상감청자에서 초기 상감분청사기로의 이행관계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이 시기 청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호림박물관 소장 국보전』(호림박물관, 2006)
『조선시대 도자기』(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한국의 도자기』(정양모, 문예출판사, 1991)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