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급 초상 ( )

목차
관련 정보
윤급 초상
윤급 초상
회화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 문신 윤급(尹汲)의 초상화.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윤급(尹汲)의 초상화.
개설

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윤급은 조선 후기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평, 호는 근암(近菴)이며, 영의정을 지낸 윤두수(尹斗壽)의 5세손이다. 1725년(영조 1) 문과에 급제한 후 형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자주 파직되었으나 의로운 주장이었기 때문에 곧 서용되곤 했다. 특히 글씨에 뛰어나 독특한 서체를 이룩하였다.

이 초상은 쌍학흉배(雙鶴胸背)와 서대(犀帶)를 하고 있는데, 이로 보아 윤급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지내 1품에 오른 1762년(영조 38) 66세 무렵에 그린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변상벽(卞相璧)이 윤급의 초상화를 그렸다는 “화재화탱(和齋畵幀)”의 기록이 인용되고 있어, 이 초상이 당대 최고의 어진화사(御眞畵師)였던 변상벽이 그린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내용

사모(紗帽)와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하고 표피를 깐 교의자(交椅子)에 좌7·9분면으로 앉은 뒤 공수(拱手)하고 있는 전신교의좌상상이다. 얼굴의 사마귀와 검버섯, 붉은 기운까지 정교하게 묘사된 수작이다.

초상 자체의 표현도 뛰어나지만, 족자 표장도 18세기 후반의 원모습을 그대로 잘 간직하고 있어 이 작품의 중요성을 더해준다.

의의와 평가

초상화를 잘 그려 국수(國手)라고 불렸던 18세기 화가 변상벽의 작품으로, 인물의 연륜과 풍모가 사실적으로 잘 표현되어 이 시기 초상화 연구에 기준작이 되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초상화』(조선미, 문예출판사, 200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황정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