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도자기에 사용된 양각기법은 조각칼을 사용하여 표면을 깎아 문양이 도드라지게 장식하거나, 도범(陶范)을 사용하여 문양을 찍는 경우, 그리고 틀로 찍고 세부를 음각하는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조각 양각기법이 사용된 경우는 그릇 외면에 세로로 연판문을 넣은 것이 일반적 장식방법이다. 발(鉢)이나 접시, 잔(盞), 향완(香碗) 등의 외면에 연판문의 바깥쪽을 보다 깊게 도려내어 문양을 고부조로 입체감 있게 보이도록 깎아내는 경우도 있다.
낮고 넓은 형태로 안바닥은 편평하고 옆선이 부드럽게 꺾여 올라 사선으로 벌어진 형태의 접시이다. 안쪽에는 무늬가 없고, 외면에는 양각의 연판문대를 고부조로 입체적이고도 정교하게 깎아 넣었다. 유색은 옅은 녹청색이며 맑고 광택이 있어 차분한 비색을 띤다. 강진 사당리 요지에서 12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약은 굽 부분까지 모두 입히고 굽 안 바닥 세 곳에 규석받침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굽 접지면 일부에는 규석받침용 도침이 붙었던 흔적도 남아 있다.
이 유물처럼 연꽃잎의 가장자리가 뾰족한 형태의 연판문 장식은 고려 전기 시흥 방산동 요지와 여주 중암리 요지의 잔탁장식에 나타나지만, 접시나 발 등의 외면을 장식하는 사례는 일반적으로 12세기 이후 강진 일대에서 유행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강진이나 부안 이외지역에서는 이 유물처럼 입체형으로 깎은 연판문 장식은 흔치 않으며 음각선으로 그린 경우가 더 많다. 연판문 장식은 동시기 북송, 금, 남송, 원대까지 중국남북방의 청자와 백자요지에서 크게 유행하였으며, 특히 입체형의 연판장식은 금속공예품에 사용되었던 타출(打出)기법 연판문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전하는 연판문 접시 가운데 형태와 문양, 고르고 차분한 유색, 세부 조각의 정교함 등, 모든 부분에서 매우 뛰어난 유물이다. 고려 비색청자의 절정기를 대표하는 조형의 대표성과 기술적 완성도를 모두 가진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