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안 초상 ( )

목차
관련 정보
김이안 초상
김이안 초상
회화
유물
국가유산
조선 후기 문인 김이안(1722-1791)의 초상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김이안 초상(金履安 肖像)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6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박물관 (신촌동,연세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문인 김이안(1722-1791)의 초상화.
개설

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김이안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례(元禮), 호는 삼산재(三山齋)이다.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으로 노론의 낙론(洛論)을 대표하는 김창협(金昌協)의 증손자이자, 김원행(金元行)의 아들로 정조대에 산림(山林 : 산림처사의 준말로, 학덕은 높으나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던 고명한 선비)으로 우대되던 인물이다. 그는 평생 몇 군데에서 수령을 지냈을 뿐 대부분 독서와 강학, 유림(儒林)으로 일관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김이안초상」은 아래 쪽 표장 부분에 ‘삼산재선생의 초상화(三山齋先生眞)’ 라는 제첨(題籤)이 있다.

이화여대박물관소장 「김이안초상」입상과의 연관성과 관련 이 반신상에서는 입상과는 달리 옷주름 사이의 음영이 더욱 강화된 느낌을 준다. 두 초상화의 공통적인 점은 복건의 주름 사이에 농담의 대비가 강하며, 음영처리를 통한 입체감이 돋보인다.

특징

얼굴을 약간 오른 쪽을 돌려 좌안8분면을 취하고, 복건에 심의(深衣)를 입은 유복차림으로 복부까지 오는 반신상이다. 얼굴의 윤곽선과 주름을 적갈색 선으로 묘사하고, 움푹 들어간 부분은 옅은 적갈색 담채로 선염하여, 입체감을 살리고 있다. 동공은 짙은 흑색으로 칠하고 홍채 부위는 담묵으로 옅게 표현한 후 홍채 가장자리를 다시 묵색으로 규정하였다. 눈동자 바깥 부위에 옅은 청색을 집어넣어 노학자의 또렷한 정기를 표현하였다. 또한 턱 선을 따라 오른 쪽으로 살짝 휘어진 흰 수염의 묘사가 돋보인다.

복건은 특이하게도 자주색을 띠고 있으며, 복건의 주름 부위에는 먹색을 칠하여 묘사하였고, 심의의 외곽과 주름은 바탕 색 보다 약간 짙은 갈색 선을 묘사하고, 주름 선의 안쪽 부분을 담묵으로 엷게 우려내어 입체감을 성공적으로 나타내었다.

깡마른 몸체에 각진 얼굴, 약간 치켜 올라간 눈매, 조심스럽게 꼭 다문 입술, 양팔을 밑으로 내려 소매 안에서 마주 압은 공수 자세 등은 고결한 성품에 벼슬을 멀리하고 성리학자로 살아갔던 그의 풍모를 충실하게 전해준다. 18세기 후반 유복본 초상화 가운데 가작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초상화』(문화재청, 2007)
『한국초상화연구』(조선미,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