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수사에 소장된 괘불도.
이칭
이칭
영산회괘불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鎭川 靈水寺 靈山會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8년 03월 12일 지정)
소재지
충북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산542번지 영수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수사에 소장된 괘불도.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653년작. 모시 바탕에 채색. 세로 8.35m, 가로 5.79m. 석가모니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 괘불도이다. 『상산지(常山誌)』에 의하면 원래 진천읍 상주리백련암에 있던 것인데 백련암이 폐사되면서 영수사로 이전했다고 한다.

내용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18보살, 16나한, 제석 · 범천, 사천왕, 팔부중, 성중들이 화면 가득 표현되어 있다. 화면의 향우측 하단에는 한 무리의 주악천중을 묘사하고 향좌측 하단에는 우바이, 우바새 등 청문중을 배치하는 등 『묘법연화경』 서품에 의거하여 많은 권속을 묘사함으로서 영산회상을 장엄하고 실감나게 묘사하였다. 화폭은 괘불로서는 크지 않은 규모이지만, 인물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서 화면 가득 많은 권속들을 표현하면서도 복잡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이 불화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석가모니의 대좌 앞에는 등을 보이고 앉아 석가모니를 향해 질문하는 사리불을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영산회상도에 청법자가 등장하는 것은 조선 초기에 간행된 묘법연화경 경전변상도에서 볼 수 있으며, 영수사 괘불도를 비롯하여 보살사 괘불도(1649년), 청룡사 괘불도(1658년), 칠장사 괘불도(1710년) 등 비교적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채색은 밝고 투명하게 설채되었으며 유려한 필치와 다양하면서도 능숙한 인물묘사는 이 괘불도를 조성한 명옥(明玉), 법능(法能) 등의 화승들의 필력이 뛰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은 같은 화승이 1658년에 제작한 청룡사 영산회괘불탱(보물, 1997년 지정)에서도 그대로 계승되고 있어 17세기 괘불도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다.

하단의 시주질은 2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 화기는 세 전하의 축원을 기원하는 내용이 적혀 있으며, 하단화기는 많은 시주물품과 시주자명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황금(黃金), 주홍(朱紅), 이청(二靑), 대청(大靑), 정채(丁彩), 삼록(三錄), 홍사(紅絲), 호초(楜梢) 등의 채색명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안료 연구에 주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화기의 조성 연도가 ‘숭정(崇禎)’ 연간으로 썼다가 이후 ‘순치(順治)’ 연간으로 가필된 것이 발견되지만, 영수사 괘불의 조성 연간의 간지, 그리고 화승인 명옥, 법능 등이 1658년에 청룡사 영산회괘불탱(보물, 1997년 지정)을 조성한 것으로 보아 1653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부분적으로 후보한 부분이 있고 화기에서도 가필된 부분이 보이기는 하지만, 17세기 영산회상도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7세기, 인·숙종기의 괘불화 연구」(김창균, 『강좌 미술사』3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8)
「조선시대 17세기 전반 영산회괘불화 연구」(김창균, 『강좌 미술사』2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5)
「조선후기 괘불탱의 연구」(정명희, 『미술사학연구』242·243, 한국미술사학회, 200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