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문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문황의 김준암살미수사건과 관련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별장
관련 사건
문황의 김준암살미수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문황의 김준암살미수사건과 관련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미상이며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 말엽 정7품 무관직인 별장(別將)의 지위에 있었다.

1258년(고종 45) 3월 26일(丙子) 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과 별장(別將) 김인준(金仁俊, 후에 金俊으로 改名)이 중심이 되어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4대 집권자인 최의(崔竩)를 죽이고 왕정복고(王政復古)를 이룩하였다. 같은 해 6월 최씨무인정권 2대 집권자 최우(崔瑀)의 외손(外孫)인 장군 권수균(權守鈞)의 사위인 소경(少卿) 문황(文璜)이 최의(崔竩)의 원한을 복수하기 위해 우부승선(右副承宣) 김인준을 살해하려고 하였다. 이 거사(擧事)에 참여하였던 중부녹사(中部錄事) 유종식(柳宗植)이 별장 김인문(金仁問)을 포섭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김인문은 승락하지 아니하고 자신이 연루될까 두려워하여 우별초(右別抄) 지유(持諭) 백영정(白永貞)을 통해 김인준에게 고변(告變)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최씨무인정권의 인척(姻戚)이 무오정변(戊午政變)의 핵심 인물인 김인준을 제거하려던 거사는 실패로 끝나고 최의정권의 잔당이 축출되었다. 김인문은 김인준으로부터 적몰된 문황·권수균의 가산을 포상으로 받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고려무인정권연구』(홍승기 편, 서강대출판부, 1995)
「최씨가 가노출신 정치인의 역할과 무오정변의 성격」(강재광, 『한국사연구』127, 2004)
「김준세력의 형성과 그 향배: 최씨무인정권의 붕괴와 관련하여」(정수아, 『동아연구』6, 1985)
「金俊の政變について」(野澤佳美, 『史正』12,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