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공학 ()

개념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욕구와 일상생활의 질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학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욕구와 일상생활의 질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학문.
개설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학습과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곤란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수방법, 공학적 서비스 및 활용 전략 등을 제공하여 교육과 일상생활의 질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학문 분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유지 또는 개선하여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 특수교육의 목표와 목적의 실현을 위한 수단 혹은 도구적 기능을 수행한다.

특수교육공학의 적용은 공학이 가진 효과성 및 효율성으로 인해 장애학생들의 특별한 교육적·일상생활 기능적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적절한 개별화 교육이 가능해진다.

내용

특수교육공학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공학(Technology of Teaching)은 정확한 방법에 의해 체계적으로 설계되고 적용된 수업 접근 방법을 의미한다. 잘 정의된 교재, 학습자의 요구에 기반한 정확한 수업 절차, 연속적이고 세분화된 수업 단위, 교사의 높은 활동 수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풍부한 강화의 활용, 학생의 수행에 대한 면밀한 관찰 등을 포함한다. 교수자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특징이다.

교수공학(Instructional technology)은 특별한 목적을 위한 교수 및 학습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 및 수행 그리고 평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의 학습과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며, 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공학은 수단으로써 활용된다.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은특정 환경 안에서 장애인의 기능을 돕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와 장치를 의미한다. 보조공학은 학습상의 보조는 물론, 환경에의 접근성, 직장에서의 경쟁력, 독립성 등을 강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의료공학(Medical Technology)은 기계적 인공호흡기, 심박수 모니터, 산소포화도 측정기, 영양공급 보조기, 인공항문, 신장 투석기, 정맥내 주사요법 등의 의료적인 공학기기 적용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 직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정보공학(Informational Technology)은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 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에 생산적 도구공학이라고도 불린다.

특수교육공학의 적용으로 개별화교수를 통한 학습수행능력의 향상, 동기부여 및 학습태도 향상, 장애의 보완, 자아효능감 증대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특수교육공학을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일환으로 보아 각급 학교의 장이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장애인용 각종 교구, 각종 학습보조기, 보조공학기기 등의 설비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제28조 4항), 특수교육공학을 정보 접근성 보장의 차원에서 해석하여 각급 학교의 장은 각급 학교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훔페이지를 포함한다)를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하여야 한다(제28조 7항)고 규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저하된 능력을 향상시키는 능력 신장의 기능(예, 문자 확대기), 정보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매체를 대체하는 기능(예, 음성입출력기), 장애를 보상하고 지원하는 기능(예, 자동점역기)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장애학생의 요구와 특성에 적절한 개별화교육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장애를 보완하며, 장애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자아효능감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특수교육공학의 활용(하드웨어) 측면만 강조해온 측면이 있으므로, 설계·개발·활용·관리·평가 등을 포함한 체제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특수교육공학』(김남진·김용욱, 학지사, 2010)
『특수교육학용어사전』(국립특수교육원, 하우,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