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 ()

목차
관련 정보
조각
개념
재료를 깎거나 새겨서 형상을 만드는 조각과 재료를 빚거나 덧붙여 형상을 만드는 소조를 아울러 가리키는 미술용어.
목차
정의
재료를 깎거나 새겨서 형상을 만드는 조각과 재료를 빚거나 덧붙여 형상을 만드는 소조를 아울러 가리키는 미술용어.
개설

입체적인 미술품을 만드는 기법 중에서 나무나 돌과 같이 단단한 재료를 정, 망치, 끌 같은 도구로 깎거나 쪼아서 만드는 조각(彫刻, carving)기법과 흙, 유토, 밀납 같이 부드러운 가소성이 있는 재료로 살을 붙여 형상을 만드는 소조(塑彫, modeling)기법의 첫 글자를 합성한 용어이다.

연원 및 변천

‘소조’라는 용어는 1894년 일본의 도쿄미술학교 조각과 제1회 졸업생인 오무라 세이가이〔大村西崖, 1868-1927〕가 『교토미술협회잡지(京都美術協會雜誌)』에 「조소론(彫塑論)」을 발표하면서 동아시아 미술계에 등장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조각이라는 용어는 나무나 돌을 깎거나 쪼아서 상을 만드는 기법만을 의미하기 때문에 19세기 말에 서양에서 새롭게 유입된 흙이나 유토로 살을 붙여서 형상을 만드는 소조 기법을 포함시키기 위해서 ‘조소’라는 신조어가 탄생한 것이다.

1897년 오무라 세이카이의 동문들이 ‘청년조소회(靑年彫塑會)’를 결성하여 조소라는 용어를 유포하면서 일본미술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근대기에는 일본의 미술학교에서 조각(carving)과 소조(modeling) 기법만을 가르쳤기 때문에 ‘조소’라는 용어는 실용화될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조소’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35년 제14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조각’ 대신 ‘조소’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부터이다.

내용

조소라는 용어는 일본, 한국,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용어로, 한국에서 ‘조소’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35년 제14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공모분야를 ‘조각’ 대신 ‘조소’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미술계에서 본격적으로 회화와 나란히 조소라는 용어를 미술장르 개념으로 사용한 것은 해방 이후인데, 미술대학에서 ‘조소과’라는 학과 명칭이 생기면서부터이다.

‘조소’라는 용어는 일본인이 만든 신조어이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미술장르의 개념으로 ‘조소’라는 용어보다는 ‘조각’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오히려 한국에서 해방 이후에 미술대학에서 학과명칭으로 ‘조소’라는 용어가 사용하게 되면서 ‘조각’이라는 용어와 함께 통용되고 있다.

현대조각에서는 주1와 같은 기법 도입되면서 더 이상 전통적 기법인 조각이나 소조의 기법만이 조각의 기법으로 유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술대학의 학과명칭을 ‘조소과’로 부르게 된 것은 미술대학의 설립의 주축을 이룬 미술가들이 일제강점기에 일본 동경미술학교를 다녔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조각가인가 조소예술가인가?」(김성회, 『계간조각』2006년 봄호)
「한국근현대미술에서 ‘조각’ 개념과 그 전개」(김이순, 『한국근현대미술사학』22, 2011)
『日本の近代美術』(酒井忠康, 東京: 大月書店, 1994)
A Dictionary of Art Terms and Techniques (Ralph Mayer, Barnes & Noble Books, NY. 1981)
주석
주1

잡동사니나 일상적 대상들을 한 화면에 입체적으로 조합하는 경향. 평면적인 형태가 아니라, 입체적인 콜라주 기법을 일컫는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이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