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대동 덕화리 1호분 ( )

고대사
유적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이칭
이칭
덕화리1호무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개설

덕화리1호분은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에서 서북쪽으로 1㎞ 거리의 봉화산 남쪽 기슭에 있는 덕화리고분군에 포함되어 있다. 모두 3기의 고구려시대 흙무지돌방무덤 가운데 동쪽에 나란히 놓인 2기 중 서쪽의 것이 덕화리1호분이다. 이 고분은 1976년 10월 발굴조사되어 그 전모와 성격이 밝혀졌다.

내용

흙무지〔封土〕는 방대형으로 쌓았으며 무덤방향은 서쪽으로 기운 남향이다. 널길〔羨道〕과 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외방무덤〔單室墳〕으로 널길과 널방의 길이×너비×높이는 각각 2.42m×1.46m×1.72m, 3.09m×2.43m×3.44m이다. 널방의 천장구조는 1단의 평행고임 위에 6단의 8각고임을 올린 평행8각고임이다. 널길 벽은 화강암 판석으로 쌓았으며 널길 입구에서 1.4m 되는 곳에 외짝 돌문을 달았다. 널방 입구에는 나무문을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널방 바닥에 회로 다져 만든 2개의 널받침〔棺臺〕이 동서로 나란히 놓였다. 무덤 안에 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며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 및 사신이다.

의의와 평가

덕화리1호분은 전형적인 외방무덤이면서 널방 천장짜임은 벽화고분 중기의 다양한 구조 중의 한 종류인 평행8각고임이다. 또한 벽화 주제가 전형적인 사신도 이행 직전의 사신 비중이 높은 생활풍속 및 사신이다. 널방 천장석에는 불교 유행기의 특징인 연꽃이 그려져 있다. 이 고분의 무덤구조 및 벽화주제, 제재구성 등을 통해서 5세기말 고구려 벽화고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전문사전-고분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고구려고분벽화의 세계』(전호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고구려고분벽화연구』(전호태, 사계절, 2000)
『조선유적유물도감』6-고구려편4-(조선유적유물도감편집위원회 편, 외국문종합출판사, 1990)
「덕화리 1호, 2호 무덤」(문화보존연구소편집부 편,『우리나라역사유적』,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덕화리에서 발굴된 고구려벽화무덤」(허명,『력사과학』, 1977년 2기)
집필자
전호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