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의 외형은 밑이 네모진 상태에서 위로 좁혀가다가 끝이 살짝 잘린 듯이 마무리된 방대형이며, 흙무지〔封土〕는 밑면 둘레 50여m, 높이 5m 가량이다. 널길〔羨道〕과 2개의 곁방〔耳室〕으로 나뉜 앞방, 이음길, 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무덤칸의 방향은 북으로 15˚기운 서향이다. 무덤길의 너비×길이×높이는 각각 1.38∼1.8m×7m×?이고, 널길은 1.22m×4.65m×1.6m, 좌우의 남쪽 곁방은 90㎝×1.3m×2.15m, 북쪽 곁방은 95㎝×1.25m×2.08m, 널방은 4.15m∼4.25m×4.28m×4.05m이다. 남쪽 곁방, 북쪽 곁방, 널방의 천장구조는 각각 변형 활식〔穹窿式〕, 삼각고임식, 활식이다. 널방 입구에 두 짝의 돌문을 달았고 한가운데에 천장을 받치는 둥근 돌기둥을 세웠다. 널방 바닥에는 2기의 돌널받침〔石棺臺〕을 설치하였다. 널방 궁륭고임 각 방향 중간에는 네모모양 구멍을 하나씩 뚫고 그 안에 계단모양으로 돌을 넣었다. 무덤칸 안에 백회를 입힌 뒤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며 벽화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과 장식무늬이다.
마선구 1호분은 퇴화형 앞방을 지닌 무덤구조, 장식무늬로서의 연꽃이 포함된 벽화의 제재, 유약 입힌 네귀항아리 등의 출토유물로 보아 집안 장천 1호분이나 집안 통구 12호분이 축조되던 시기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이 벽화고분은 5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