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암 지장보살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장암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 말기의 지장보살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지장암 지장보살도(地藏菴 地藏菩薩圖)
분류
유물/불교회화/괘불화/석가불도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3월 0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산성곽동길 57-2 (창신동, 지장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장암 대웅전에 봉안된 조선 말기의 지장보살도.
구성 및 형식

지장암 대웅전 석가불상의 후불도로 봉안된 지장보살도로서, 1899년(광무 3)에 윤감(允鑑), 재겸(在謙) 등이 조성하여 삼각산 청룡암 칠성각에 봉안했던 것이다. 가로로 긴 화폭 중앙에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 및 사자, 동녀, 장군, 옥졸, 판관, 팔부신중들이 3단으로 배치되었다.

내용

1899년(광무 3) 작. 본존인 지장보살상은 머리에 투명한 두건을 쓰고 있는데, 넓적한 얼굴에는 눈 · 코 · 입이 가운데로 몰려 있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으며, 왼손은 배 부근에 두고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바닥 위에 구슬을 올려놓았다. 신체는 적당한 비례이지만, 어깨가 건장하고 방형에 가까워 경직되어 보인다. 두광과 신광은 원형의 이중륜광인데, 두광은 녹색으로 칠했으며 신광 내부는 금박으로 처리하였다. 법의의 착의 방식은 양쪽 어깨를 다 덮은 통견(通肩)으로, 적색 대의에는 원형의 금문양이 시문되었으며, 법의 끝단 부분에는 연화문이 시문되었다. 가슴에는 간단한 형태의 영락 장식이 표현되었고, 일자로 가로 지른 군의(裙衣)의 윗단에는 화문을 간단하게 장식하였다. 색채는 전체적으로 적색 · 녹색이 주를 이루고, 시왕상 복식과 화면 상단부 공간에는 청색을 사용하였다. 인물 사이의 공간은 황색 구름으로 처리하여 화면을 채우고 있다. 2009년 3월 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1899년(광무 3)에 윤감과 재겸이 조성하여 청룡암 칠성각에 봉안했던 지장보살도로서, 19세기 말 지장시왕도의 양식과 형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경직된 인물 표현과 청색 사용, 신광 내부를 금박으로 가득 칠하는 기법,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채색 등 조선 말기에 다소 도식화되고 형식화된 불화의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김정희, 일지사, 1996)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