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정 ()

목차
현대사
사건
1950년 7월 12일 임시수도였던 대전에서 체결된 주한미군의 사법관할권에 관한 외교협정.
이칭
이칭
재한 미국군대의 관할권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협정, 한미주둔군지위협정, SOFA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50년 7월 12일 임시수도였던 대전에서 체결된 주한미군의 사법관할권에 관한 외교협정.
내용

정식명칭은 「재한 미국군대의 관할권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협정(Agreement relating to Jurisdiction over Criminal Offences committed by the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이다.

주한미군은 1945년 한반도에 진주한 이래 1949년 철수할 때 까지 치외법권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미군이 참전하자 미국은 미군에 대한 치외법권적인 지위를 회복하고자 했다.

1950년 7월 12일 주한미대사관은 대한민국 외무부에 “미군에 대한 배타적 재판권은 미국 군법회의에 의해 행사되어야 하며, 한국인이 미국군대와 미국인에 가해행위를 저질러 미군이 한국인을 구속해야 할 경우에는 대한민국의 관헌에 체포하여 인도할 것이며,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이 침공한 상황에서 어떤 경우라도 미국군대와 미국 기관에 복종할 것을 지시할 수 없으며, 지방 재판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가 아니라면 미국 군법회의는 한국인을 재판하지 않는다”는 점을 골자로 하는 사안을 승인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외무부를 통해 미국 정부의 요구를 승인한다고 통보함으로써 대전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로써 미군과 미국 기관은 대한민국에서 다시 한번 치외법권적인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한미양국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이 가체결하면서 대전협정을 대체하기 위한 주둔군지위협정을 맺는 것에 동의했다. 1966년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이 체결되면서 대전협정을 정식으로 대체하였다. 대전협정은 불평등조약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한국의 민족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갈등하는 동맹: 한미관계 60년』(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역사비평사, 2010)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박태균, 창비, 2006)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김일영·조성렬, 한울아카데미, 2003)
『韓美軍事關係史 1871∼2002』(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한미관계 20년사: 1945∼1965년』(도널드 스턴 맥도널드, 한울, 2001)
집필자
윤시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