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네마 (digital cinema)

영화
개념
촬영 · 후반작업 · 배급 · 상영 등 영화제작 전 과정이 디지털 데이터와 파일,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영화. D-Cinema.
이칭
이칭
D-Cinema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촬영 · 후반작업 · 배급 · 상영 등 영화제작 전 과정이 디지털 데이터와 파일,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영화. D-Cinema.
연원 및 변천

영화제작에서의 디지털 개념은 1982년 할리우드 영화 「트론」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이미지 그래픽 작업을 통해 도입되었다. 또한 제작뿐만이 아닌 배급, 상영 전반에 있어서의 디지털 시네마(Digital Cinema)는 1990년대에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본격적인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배급된 최초의 영화는 1999년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1」로써 서버저장 방식과 시네콤(Cinecomm) 위성중계 방식을 이용해 디지털 극장배급과 상영을 시도한 바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2006년 송일권 감독의 영화 「마법사들」이 국내 최초로 상업용 네트워크를 통해 영화관에 전송, 상영되었다.

내용

일반적으로 영화에 있어서 디지털은 디지털카메라 및 컴퓨터 이미지 작업을 통해 제작된 디지털 영화와 디지털 배급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화관에 상영되는 디지털 시네마로 구분된다. 단순히 제작에만 디지털 시스템이 적용되는 디지털 영화와는 다르게 디지털 시네마의 경우 디지털 촬영, 디지털 후반작업 그리고 최종적으로 디지털 배급 및 상영 등 영화제작 전 과정을 디지털화함으로써 영화제작 및 배급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콘텐츠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현황

2013년 말을 기준으로 국내 전체 스크린의 약 94.9%인 2072개의 스크린이 디지털 배급 및 상영이 가능한 디지털 시네마로 전환되었다.

의의와 평가

디지털 시네마는 파일형식으로 제작 및 배급, 상영의 전 과정을 처리하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없고, 운송 및 저장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문화산업에 비해 기술의존도가 높아 기술 투자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독자적인 디지털 배급망을 확보하지 못한 영세한 중소배급업체의 배급권이 대기업에 종속되는 부작용을 양산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D-cinema 비전 2010』(디지털시네마비전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2005)
「스마트 영화관을 위한 디지털시네마 기술동향」(정효택 외,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4호, 2012)
「디지털 시네마(D-Cinema) 동향」(김대희 외, 『방송과 기술』 제101호,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