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일 ()

목차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중국 길림성 연길현 팔도구 일대에서 독립무장단체의 책임자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6년(고종 23)
사망 연도
1920년 11월 26일
출생지
충청북도 중원군
관련 사건
경신참변(庚申慘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중국 길림성 연길현 팔도구 일대에서 독립무장단체의 책임자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내용

1886년 충청북도 중원군 출생으로, 1919년 겨울 두만강을 건너 만주 연길현 팔도구 수북천으로 이주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만주 지역에 무장투쟁론이 크게 대두되면서 재만 동포들의 지지로 70여 개의 독립군 부대가 편성되었다. 특히 1920년대 삼둔자(三屯子) 전투, 봉오동 전투 등 무장투쟁이 전개되었고, 이에 자극을 받은 일본군들이 훈춘사건(琿春事件)을 일으켜 출병의 명분을 만들어 독립군 토벌을 시작하였다.

1920년 10월 일본군 토벌대가 연변 등지의 조선인 거주지에 쳐들어와 무자비하게 보복 살육한 경신참변(庚申慘變)이 벌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길림성 연길현 팔도구 일대 독립무장단체의 책임자였던 조병일도 체포되었다. 체포 후 1920년 11월 26일 일본군의 고문으로 연길현 양지촌(陽地村)에서 순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고자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고,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2000년 유해가 봉환되었다.

참고문헌

「일제의 간도토벌 목격자들의 생생한 증언」(『자주민보』, 2005.10.18)
「독립유공자 공훈록」, 국가보훈처(www.mpva.go.kr)
「해외 독립운동가 유해봉환사업」, 국가기록원(www.archives.go.kr)
집필자
이은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