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독본 ()

소학독본
소학독본
문헌
1895년 학부 편집국에서 초등학교의 국어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95년 학부 편집국에서 초등학교의 국어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개설

『국민소학독본』(1895년 8월경)에 뒤이어 편찬·발행된 초등학교용 국정교과서 중의 하나이다. 책 이름에 ‘독본’이라 붙인 것은 국어과 교과서임을 말해 준다. 그러나 효(孝)와 충(忠), 근(勤)과 성(誠)에 기반을 두었으므로 수신 또는 윤리 교재로 보기도 한다. 재래의 『소학(小學)』과는 달리 실용을 중시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1894년 6월 28일 군국기무처에서 정한 각 아문관제에 따라, 같은 해 7월 20일 예조를 폐지하고 ‘학무아문’을 발족시켰다. 이후 한성사범학교관제 공포(1895.4.16.)를 시작으로 소학교령(1895.7.19.) 등 학교급 관제 및 학교령이 후속되었다. 본서는 시대적으로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국민 육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위하여 전통적인 수신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조선 정부의 교육 이념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서지적 사항

총 30장(60쪽). 내표제지의 책이름 오른쪽에는 ‘학부편집국신간(學部編輯局新刊)’이 표시되어 있고, 왼쪽에는 ‘대조선개국 오백사년 중동(大朝鮮開國五百四年仲冬)’이라 하여, 1895년 음력 11월에 편찬되었음을 밝혔다.

오침선장(五針線裝)의 한지 한장본(漢裝本)으로책의 크기는 세로 28.3㎝, 가로 18.3㎝이고, 본문은 세로 21.7㎝, 가로 14.6㎝이다. 국한문 혼용체제로 되어 있으며, 이 중 한자는 후기교서관 철활자와 신제목활자를 섞어 사용했고, 한글 활자는 학부인서체자로 만든 목활자이다.

내용

초등 교재이지만, 수준 높은 내용이 들어 있다. 전통적인 수신서를 표방하며 변화하는 세계에 맞서는 데 따른교육적 고심이 담겨 있다. 모두 5개 단원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입지(立志), 제2 근성(勤誠), 제3 무실(務實), 제4 수덕(修德), 제5 응세(應世)가 그것이다. ‘배움에 뜻을 세우고’, ‘근면과 성실’로써 바탕삼고, ‘힘써 정진하여 실용을 추구하는 삶’을 지향하며, ‘덕을 갖춤’으로써 ‘당시대에 적응’하는 것이 새로운 시대에 필요로 하는 목표임을 안내하였다.

이 같은 내용은 우리나라의 성현들이 내보인 귀감을 되살펴 근대적 국민 육성을 지향한다는 이상과 대의를 존중한다는 개인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유교 이념의 핵심인 ‘충효’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옛 성현들이 남긴 가르침을 당시대에 되새겨 학습 세대를 근대 국민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실용적인 내용으로 구성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문에 인용된 인물들이 우리나라의 성현들이라는 점, 실용을 숭상하는 태도를 중대시한 것 등은 근대지향적 성격을 띤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교과서 평설』(이종국, 일진사, 2013)
『한국국어교육 전사(상)』(박붕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전통 교육과 ‘국어’ 교과서의 형성」(강진호, 『상허학보』41집, 상허학회, 2014)
「‘소학’의 편찬 이유와 이론적 입장」(진원, 『한국학논집』제49집, 계명대한국학연구원, 201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