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인서 ()

개신교
인물
일제강점기 평양 장대현교회, 철산군 세평교회, 평양 오촌리교회 등에서 목회한 목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2년(고종 19)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평양 장대현교회, 철산군 세평교회, 평양 오촌리교회 등에서 목회한 목사.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 11월 14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했다.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길선주의 지도를 받으며 신앙생활을 시작했다. 베어드(William M. Baird) 선교사가 설립한 숭실학당에 들어가 1906년 5월 중등부를 제3회로 졸업하고, 곧 바로 대학부에 입학하여 1908년 5월 김두화(金斗和)와 함께 제1회 졸업생 2명 중 한 명으로 졸업했다. 이어서 숭실학당 중등부 교사로 활동하고, 1911년 1월 장대현교회 장로로 장립되었다. 1912년 1월 평남노회에서 신학교 취학을 허락받았으나,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 당시 그의 혐의는 이승훈과 안태국의 지휘 하에 총독을 살해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것이었다. 허위 자백을 강요받고 기소되어 1912년 9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7년을 선고받고 복역하였으나 항소하여 1913년 3월 복심법원에서 무죄선고판결을 받고 풀려나,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했다. 1913년 10월 장대현교회 조사를 맡았다. 1917년 6월 장로회신학교를 제10회로 졸업하고, 제12회 평남노회에서 장대현교회 부목사로 청빙 받아 7월 10일 담임목사 길선주를 도와 동사목사로 취임했다.

1919년 3·1운동 때 길선주 목사가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르고 석방될 때까지 장대현교회를 담임하였다. 1923년 9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서 사기편집위원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26년 교회 안에서 박윤근 등 청년층이 길선주 목사를 배척할 때 청년들 편에 가담했다가 사직하고, 대동군 대동원교회를 담임하였다. 1930년 3월 평양신학교 연구과를 졸업했다. 1935년 철산군 세평교회를 담임하다가 1936년 10월 5일 평양부 오촌리(鰲村理)교회로 전임하여 해방될 때까지 그 교회를 담임하였다. 해방 후 월남하지 않고 북한에서 목회하다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숭중 숭대 졸업생명부』(1939)
『희년기념(禧年紀念) 목사대설교집(牧師大說敎集)』(정인과 편, 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35)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요람』(1916)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