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향손 사적 통록 (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에 성균관에서 수학한 권심도, 권영흡, 권용칭, 권계위, 권경룡 등 5인이 안동 지역 향리의 사적과 주요 인물들의 전기를 모아 1824년에 간행한 사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성균관에서 수학한 권심도, 권영흡, 권용칭, 권계위, 권경룡 등 5인이 안동 지역 향리의 사적과 주요 인물들의 전기를 모아 1824년에 간행한 사적기.
개설

안동 지역 주요 향리(鄕吏)의 사적(事蹟)과 전기를 수록한 책이다. 모두 66명의 전기를 수록하면서 두드러진 행적을 강조하였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안동 향리의 신분 상승을 위한 의도와 사회적 진출이라는 포석을 목적으로 간행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의 간행을 주도한 인물은 5명으로, 성균관에서 수학했던 권심도(權心度)를 비롯해 생원 권영흡(權永翕), 진사 권용칭(權龍稱)과 권계위(權啓緯)·권경룡(權景龍) 등이다. 효종 연간 이후, 향리들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향촌 사회에서 향리의 지위가 인정되었음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관직 등 사회적 진출을 위하여 자신들의 위치를 주지시키려는 의도에서 이 책을 간행하였다. 이를 위해 안동의 이족(吏族)이 다른 지역의 이족과는 크게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내용

『안동향손사적통록(安東鄕孫事蹟通錄)』은 필사본으로, 1책이다. 먼저 5편의 서문을 수록하였는데, 찬자는 이황(李滉)의 9대손인 이야순(李野淳)을 비롯해 영의정을 지낸 김재찬(金載瓚)과 한용구(韓用龜), 예조판서 홍의호(洪義浩), 호조참판 신위(申緯) 등이었다. 이어 「안동향손사적」항목에서는 안동 지역 향리와 관련한 역사적 사적을 수록하였다. 항목 서두에는 안동의 향손은 모두 고려 삼태사(三太師, 金宣平·權幸·張貞弼)의 후예들로 안동에서 세거하면서 호장직을 승습(承襲)하며 30대를 이어왔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정구(鄭逑)와 김종직(金宗直), 이준(李埈) 등의 문집과 흥양 이씨와 안동 김씨 족보 등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향리의 전기 기록인 「안동향손내력」에서는 진사 권민의(權敏義)와 강한(姜翰)을 시작으로 모두 66명의 향리에 대한 기록을 수록하였다. 각각 인물의 직역과 함께 행적 중 두드러진 부분을 묘사하였다. 예를 들어 권민의나 강한의 경우는 퇴계와 교류한 점, 호장 김황(金璜)은 효행, 호장 권산호(權山虎)는 선무공신에 녹훈된 사실을 소개하였으며, 처사 권두징(權斗徵)은 학행, 증(贈) 참의(參議) 권희병(權喜炳)은 효행, 호장 김지항(金志恒)은 이무(吏務)에 뛰어났다는 점 등이 강조되었다. 이 밖에도 동추(同樞) 권덕관(權德寬)은 청렴하였다는 점, 진사 김관석(金觀錫)은 서예에 능했다는 점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안동 호장(戶長)의 사위와 외손으로 현달한 자를 기록하였다. 권만기(權萬紀)의 사위인 김성세(金成世), 권무(權茂)의 사위인 김희(金熙), 권추(權錘)의 외손녀 사위인 권전(權專) 등을 수록하였다. 「부록」에서는 효종조와 영조조의 안동 향리와 관련된 사적을 수록하였다.

마지막에는 20편의 발문을 수록하였는데, 찬자는 이조판서를 지낸 홍희준(洪羲俊)을 비롯해 성균관 대사성 출신의 서장보(徐長輔), 좌참찬을 지낸 조정철(趙貞喆) 등이 포함되었다. 앞서 수록된 서문과 발문의 찬자를 당색으로 보면, 영남 남인 이외에도 노론과 소론이 모두 포함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점은 편찬자들이 당대의 현실을 고려해 필자의 선정을 신중하게 한 결과였다.

의의와 평가

안동 이족 출신이라는 사실을 앞세워 자신들의 입장을 부각시키려 간행한 책으로, 관직 진출을 위해 자신들의 특수한 위치를 주지시키고자 작성되었다. 조선 후기 향리의 신분 상승 운동 과정에서 자신들의 사적을 정리하고 이를 외부에 드러내기 위해 작성된 책이다.

참고문헌

『안동향손사적통록(安東鄕孫事蹟通錄)』
「『안동향손사적통록』의 간행과 조선후기의 안동향리」(이훈상, 『한국사연구』60, 한국사연구회,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