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 성자산성 ( )

건축
유적
중국 요령성 철령시 개원시 팔과수향 고성자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산성.
이칭
이칭
고성자산성, 古城子山城, 동산산성, 東山山城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 요령성 철령시 개원시 팔과수향 고성자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산성.
개설

철령시(鐵嶺市) 개원시(開原市) 팔과수향(八棵樹鄕) 고성자촌(古城子村)의 해발 200m인 동산(東山)에 있는 고구려 산성이다. 고성자산성(古城子山城), 동산산성(東山山城)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내용

연반하(碾盤河)와 청하(淸河)가 만나는 삼각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청하의 중상류 일대에서 충적평지가 가장 넓게 발달한 지역으로, 여러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가 갈라지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성벽은 동산에서 두 갈래로 뻗은 능선을 따라 흙과 막돌을 섞어 쌓았는데, 둘레는 1.1㎞ 정도이다. 성벽의 안쪽에는 회곽도(廻郭道)를 두었으며, 남쪽 성벽과 북쪽 성벽에는 봉우리를 성벽으로 둘러싼 소성(小城)이 있는데, 남소성은 동서 56m, 남북 14m의 규모이다. 성문은 서쪽 성벽 골짜기 부분에 개설된 서문만 있는데, 골짜기 입구에 판축으로 벽을 쌓고서 남북의 작은 능선이 감싸도록 배치하였다. 곧 서문터는 너비 5m로, 판축 벽 남쪽 끝부분과 남쪽 산기슭 사이에서확인되었다. 이밖에 성벽 모서리에 망대(望臺) 4곳을 두었고, 판축 벽 안쪽에는 배수구가 서쪽으로 설치된 저수지가 있다. 서쪽 골짜기 흙벽 안쪽 대지에서는 많은 양의 기와가 출토되어 건물터로 보인다. 성 안에는 원형 구덩이가 열을 지어 분포하고 있는데, 병사들이 주둔하던 반지하식 주거지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이 산성은 입지 조건이나 축성 방법 등으로 보아 요하(遼河) 상류 일대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과 비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송요대평원(松遼大平原)에서 혼하(渾河)·휘발하(輝發河) 일대로 나아가는 길목인 청하 일대를 통제하려는 군사적 기능과 함께 지방 지배를 위한 거점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고구려성』Ⅱ─요하유역편─(여호규, 국방군사연구소, 1999)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下)─(國家文物局主編, 西安地圖出版社, 2009)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王禹浪·・王宏北 編著, 哈爾濱出版社, 1994)
동북아역사넷(www.contents.nahf.or.kr)
집필자
백종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