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문학간사 ()

현대문학
문헌
조선족 학자 박충록이 우리나라의 문학사를 사회주의적인 관점으로 서술하여 1987년에 간행한 학술서. 문학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족 학자 박충록이 우리나라의 문학사를 사회주의적인 관점으로 서술하여 1987년에 간행한 학술서. 문학사서.
개설

『조선문학간사』는 베이징대학교 동방학과의 조선족 교수 박충록이 원시시대부터 1953년까지의 조선 문학사를 사회주의 의식을 바탕으로 간명하게 서술한 책이다.

내용

박충록은 1928년 중국 지린성[吉林省] 옌지현[延吉縣]에서 태어났다. 1953년에 옌벤대학교 조선어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대학교 동방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저서는 『김택영문학연구』, 『조선문학간사』, 『한국통일문학사론』, 『조선후기삼대시인연구』, 『한조사전(漢朝辭典)』, 『조한사전(朝漢辭典)』, 『조선어기초교정』, 『동방문학사전』 등이 있다.

『조선문학간사』는 조선의 원시문학부터 6·25 전쟁 직후까지의 문학사 전반을 다루었다. 이 책은 원시 및 고대문학, 중세문학(기원전 1세기19세기 중엽), 근대문학(19세기 후반기20세기 초), 항일혁명투쟁시기의 문학(19261945), 해방 후 문학(19451953) 등 총 5단계로 구분하고 각 시기마다 그 시대의 사회·역사적 환경과 문학의 특징을 간략히 개관한 다음,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집중 분석하는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시대구분에서 고대를 노예제시대로 보았고, 중세를 봉건사회로 규정하면서 기원전 1세기 초인 삼국시대부터 범위에 넣었는데, 이는 북한의 문학사 시대구분을 따른 것이다. 조선시대는 전·중·후기로 삼분하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발발한 17세기를 중기로 정하여, 장르체계의 변화에 입각한 문학사적 논리를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중세문학과 근대문학의 기준을 1862년 진주농민봉기를 시작으로 일어난 전국의 농민봉기로 잡았는데, 이 사건을 봉건적 통치체제의 붕괴로 인식한 것이다. 하지만 문학사에서 근대는 1905년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애국계몽기 문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게다가 근대문학과 항일혁명투쟁시기의 구분을 1926년으로 잡았는데, 이때는 김일성이 타도제국주의동맹을 결성한 해인 동시에, 카프(KAPF)의 제1차 방향전환이 있었다. 즉, 자산계급의 진보성이 끝나고 카프가 프롤레타리아 해방을 뚜렷한 목표로 내세운 목적의식기를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하지만 자산계급의 진보성이 끝났다고 판단하는 근거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저자는 북한 문학사의 영향으로 민중의 입장에서 문학사를 파악하고 작품의 선정과 해석 및 평가를 하였다. 근대 역사에서 1882년 임오군란을 조선군대의 강제해산을 도화선으로 한 애국적 군인들의 폭동으로 보았고, 1884년 갑신정변을 조선에서 첫 자산계급혁명으로 서술하고 있다. 주요 작가로는 최서해, 김소월, 조기천, 이기영, 송영, 조명희, 강경애 등으로 북한에서 출생했거나 북한에서 문단활동을 한 인물을 위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1926년부터 시작되는 항일혁명투쟁시기의 문학은 이기영을 필두로 한 예맹그룹, 즉 북로당계열의 문학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해방 후에는 사회주의 현실이 조선 문학이 개화 발전할 수 있는 튼튼한 기초가 되었다거나,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조선 문학의 창작방법에서 지배적이었다고 하며 사회주의의 노선에서 문학사를 전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문학간사』는 1980년대 후반 옌벤의 우리 문학사 서술 동향을 알게 해주는 문헌이다. 하지만 옌벤 조선족자치주의 특성상 독자성을 지니기는 어려웠다. 근대 이전에는 중국과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서술하였고, 근대 이후에는 북한 문학사에 편향된 경향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문학간사』(박충록, 延吉: 延邊敎育出版社, 1987)
「공유된 문학사와 분단된 문학사─박충록 지음 『한국민중문학사』, 열사람, 1988」(김종철, 『창작과 비평』 62, 1988 겨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