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보 ()

불교
개념
행위[業, karma]의 결과(보報, vipāka)로서 받는 것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과보.
정의
행위[業, karma]의 결과(보報, vipāka)로서 받는 것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과보.
개설

업보는 깨달은 존재인 붓다와 윤회하는 존재인 중생의 차이, 중생들의 윤회하는 영역과 인간사회의 사회적·경제적 차이가 생기는 이유에 대한 불교적 설명 방식이다. 또 불교의 근본 주장인 연기(緣起)를 도덕적 차원에서 구체화한 이론이라 할 수 있으며, 민간에서는 이른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포괄적 도덕 법칙으로 이해되고 있다.

내용

업보는 크게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성실론』에 따르면 총론은 선한[善] 행위와 선하지 못한[不善] 행위는 과보를 낳지만 선악미정인[無記] 행위는 과보를 동반하지 않는다. 또 선한 행위는 좋아하는 과보[愛報]를 낳고 선하지 못한 행위는 싫어하는 과보[不愛報]를 낳는다는, 행위와 그 결과의 대응 법칙이다. 각론은 이것을 중생과 인간 사회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것인데, 『구사론』에 따르면 인업(引業)이 윤회하는 중생 중 어떤 형태로 태어나는지 전반적인 과보[總報]를 낳고, 만업(滿業)이 그 중생의 외모·부귀·수명 등의 구체적 과보[別報]를 낳는다고 한다.

또 『구사론』의 사업(四業)은 총론을 보다 세분화하여 중생과 인간사회의 차이뿐만 아니라 붓다와 중생의 차이까지 포괄하여 그 상응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즉 첫째, 흑흑업(黑黑業)은 악한 과보를 낳는 악한 행위이며, 둘째, 백백업(白白業)은 선한 과보를 낳는 선한 행위이며, 셋째, 흑백업(黑白業)은 선악이 혼재된 과보를 낳는 선악이 혼재된 행위이며, 넷째, 불흑불백업(不黑不白業)은 선악을 벗어난 열반(涅槃)을 낳는 무루업(無漏業)을 의미한다.

의의와 평가

인과응보로 불리는 업보 사상은 한국인의 윤리의식과 내세관에 깊은 영향을 끼쳐 현재의 삶의 의미 발견과 미래를 위한 윤리적 노력의 철학적 바탕이 되었다. 예컨대 한국사찰 예불을 구성하는 「이산선사발원문(怡山禪師發願文)」,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鰲新話)』 등의 설화, 「회심곡(回心曲)」 같은 불교가사 등에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성실론(成實論)』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