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치마 (치마)

의생활
의복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여성들이 입었던 길이가 긴 통치마.
이칭
이칭
통치마, 고무줄 치마
의복
재질
합성섬유 외
제작 시기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남치마는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여성들이 입었던 길이가 긴 통치마이다. 월남치마는 간단한 형태로 허리에 고무 밴드를 넣어 입었기 때문에 때와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누구나 간편하게 입을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와 농촌에 이르기까지 당시 여성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월남치마의 유행은 획일성이 강한 서민 패션과 당시 여성들의 생활상을 보여 준다.

정의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여성들이 입었던 길이가 긴 통치마.
연원

월남치마는 베트남어의 한자어 표기인 ‘월남(越南)’과 ‘치마’의 합성어이다. 통치마, 고무줄 치마라고도 한다. 월남치마는 한국이 베트남 전쟁에 군인을 파병하면서 사회적 관심을 모았던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일반 여성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왜 월남치마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중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한국군이 베트남 여성들의 고유 의상을 선물로 들여 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는 설명이 가장 많다. 그러나 베트남 여성들의 고유 의상은 원피스 형태이기 때문에 “베트남(월남)에는 월남치마가 없다.”라고 보는 것이 맞다. 당시 한국에서 ‘월남붕어’, ‘월남뽕’과 같이 단순하거나 시시한 것에 ‘월남’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누구나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월남치마 역시 그 영향으로 생긴 명칭이라는 견해가 가장 타당하다.

형태 및 용도

월남치마는 길이가 긴 통치마 형태이다. 대부분 허리에 고무 밴드를 넣어 입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잘 맞으며 편하게 입을 수도 있다. 간단한 형태라서 집에서 쉽게 만들 수도 있다. 화려한 색상의 무늬들이 들어간 소재를 사용했는데, 당시 섬유 기술의 발달로 저렴한 화학 섬유를 쉽게 구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변천 및 현황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월남치마는 때와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누구나 간편하게 입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면서, 도시에서 농촌에 이르기까지 크게 유행한 소위 ‘국민 치마’가 되었다. 당시 한국에는 미니스커트와 핫팬츠 등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다리를 드러내고 거리를 활보하는 젊은 여성과 달리 긴 길이의 월남치마는 자연스레 시골의 아낙네를 상징하게 되었다. 그후 2000년에는 KBS 2TV 미니시리즈 ‘가을동화’에서 여주인공 송혜교가 월남치마를 입고 나오면서 이 치마가 일시적으로 유행되기도 하였다.

의의 및 평가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 한국은 기성복 시대가 열렸다고는 하지만 아직 당시에는 많은 여성들이 양장점이나 집에서 옷을 만들어 입었다. 따라서 월남치마가 유행한 데에는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값싸게 구입도 가능한 아이템이라는 장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한편 월남치마의 유행은 획일성이 강한 서민 패션의 일면을 보여 주기도 한다. 그것은 여성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시대에 있어 가정에 국한되었던 여성들의 생활과 관련이 깊다. 한 시기에 걸쳐 한국의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월남치마였기 때문에 우리는 누구나 가슴 속에 ‘추억’, ‘고향’, ‘따뜻한’, ‘어머니’를 상징하는 아이템으로 월남치마를 공유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경자, 『한국복식사론』(일지사, 1983)
김석종·손현주·유인경·윤성토·이영만,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마당넓은집, 2001)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서울 20세기 생활, 문화변천사』(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1)
금기숙 외 9인, 『현대패션110년』(교문사, 2012)

기타 자료

『경향신문』(2006.01.12.)
『경기일보』(2010.10.07.)
『동아일보』(2000.12.26.)
『한국경제』(2003.04.2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