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김밥 (김밥)

식생활
음식·약
밥만 넣어 만 김밥에 섞박지와 오징어무침을 곁들여 먹는 통영의 향토음식.
이칭
이칭
할매김밥, 꼬치김밥, 뱃머리김밥
음식·약/음식
재료
김|무|오징어|오뎅
관련 장소
경상남도 통영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충무김밥은 밥만 넣어 만 김밥에 섞박지와 오징어무침을 곁들여 먹는 통영의 향토음식이다. 통영은 어업이 주된 생업이어서 어로 작업 중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이 필요하였고, 충무항은 인근 도서 지역을 왕래하는 뱃길의 중심지여서 승객들이 배 안에서 먹을 수 있는 간단한 음식이 필요하였다. 특히 여름철에는 상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기 때문에 밥과 반찬을 한꺼번에 넣는 김밥이 아니라 김밥과 재료를 따로 준비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정의
밥만 넣어 만 김밥에 섞박지와 오징어무침을 곁들여 먹는 통영의 향토음식.
연원 및 변천

충무김밥은 대체로 광복 이후 만들어진 음식으로 보고 있다. 이것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구전이 전해진다.

경상남도 통영의 옛 지명은 충무인데, 이곳 사람들은 어업을 주된 생업으로 삼아 왔다. 어로 작업 특성상 선원들은 정해진 시간에 끼니를 해결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격식을 갖추어 식사하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간단히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여 바다로 나갔는데 그중 하나가 김밥이었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밥과 반찬을 동시에 넣어 만드는 기존의 김밥은 상하여 먹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에 밥만 싸서 마련하고 무김치 등 반찬을 따로 준비하게 된 것이 현재 충무김밥의 유래가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통영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된다. 통영은 인근 도서 지역과 부산을 왕래하는 뱃길의 중심지였다. 그래서 옛 통영 여객선 터미널에는 사람들의 왕래가 끊이지 않았는데, 이들 승객들에게 주전부리 혹은 끼니용으로 팔던 것이 충무김밥이라는 것이다. 냉장 시설이 없는 배에서도 먹을 수 있도록 고안된 음식이어서 ‘뱃머리김밥’이라고도 불렸다.

이러한 두 가지 유래 설의 공통점은 여름철에 김밥이 변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김밥과 반찬을 분리해서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한 충무김밥은 할매김밥, 꼬치김밥이라고도 한다.

조리법

충무김밥은 손가락 정도 굵기의 속이 없는 김밥과 깍두기, 오징어무침이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김은 6등분하여 고슬하게 지은 밥을 올려 말고, 데친 오징어는 양념(고춧가루, 간장, 다진 마늘, 파, 깨소금, 소금, 설탕, 참기름, 후춧가루)으로 무치고, 무를 어슷하게 썰어 소금에 절인 후 젓갈, 고춧가루, 다진 마늘, 다진 파로 양념한 것에 버무려 같이 곁들인다. 이외에 국물로 시래깃국도 같이 내놓는다. 깍두기 외에 섞박지라고 부르는 크게 썬 무김치를 곁들이기도 한다. 오징어 대신 낙지, 꼴뚜기, 어묵 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관련 풍속

어로 작업은 체력 소모가 상당한 중노동이고, 힘을 많이 써야 하는 일이어서 이들의 음식은 양이 많아야 했다. 따라서 과거의 충무김밥은 김밥보다 반찬의 양이 더 많아, ‘많고, 싸고, 투박한’ 느낌의 음식이었다. 충무김밥이 전국구 음식으로 명성을 떨치게 된 것은 1981년 ‘국풍81’에서 충무김밥을 선보인 이후이다. 이제는 전국 어디에서나 충무김밥을 먹을 수 있고 누구나 먹는 음식이 되어, 충무김밥은 양은 적어지고 가격은 비싸며 고급화되는 분위기로 바뀌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통영시사편찬위원회, 『통영시지』(통영시사편찬위원회, 2018)

인터넷 자료

충무김밥(https://namu.wiki/w/%EC%B6%A9%EB%AC%B4%EA%B9%80%EB%B0%A5)
전통향토음식 용어사전(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27428&cid=48179&categoryId=4823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