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문정(文貞)
이칭
승로(丞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927년(태조 10)
사망 연도
989년(성종 8)
출생지
경주
주요 관직
문하시랑평장사|문하수시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승로는 고려전기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927년(태조 10)에 태어나 989년(성종 8)에 사망했다. 신라 경순왕이 고려 태조에게 투항할 때 아버지와 함께 송도로 왔다. 유학파는 아니지만 유학에 뛰어나 문장과 학문 관련 관직생활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광종·경종 재위기에는 큰 활약상이 보이지 않으나 성종 때 중요 관직을 맡았다. 성종이 경관 5품 이상에게 봉사를 올리게 하자 28조의 시무책을 올려 성종의 공감을 샀다. 유교적 정치이념에 입각한 치세 방향을 제시하여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기여한 인물이다.

정의
고려 전기에,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경주 출생. 아버지는 신라 6두품인 최은함(崔殷含)이다.

한편, 불교적 입장에서 탄생설화를 담고 있는 『삼국유사』의 삼소관음중생사조(三所觀音衆生寺條)에는 이름이 ‘최승로(崔丞魯)’로 되어 있고, 아버지의 이름이 ‘최은함(崔殷諴)’으로 되어 있어 『고려사』 열전(列傳)의 기록과 서로 다르다.

유교적 정치이념을 체계화하여 개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성종대의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크게 기여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935년(태조 18) 신라 경순왕이 고려 태조에게 투항할 때 아버지와 함께 고려에 들어왔다.

어릴 때부터 총명해 태조의 사랑을 받았다. 즉, 12세에 태조에게 불려나가 『논어』를 읽었다. 이에 태조는 염분(鹽盆:)을 하사하고 원봉성학생(元鳳省學生)이 되게 하였다. 또한, 안마(鞍馬)와 예식(例食: 관례에 따라 받는 곡물) 20석(碩)을 하사하는 등 특별한 은총을 내렸다.

그 뒤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비교적 일찍부터 학문상의 주도권을 위임받아 문장과 학문 계통의 관직 생활을 하였다. 이와 동시에 당대 제일의 지식인 대열에 참여하였다.

신라 6두품 지식인 중에는 도당(渡唐) 유학생 출신이 많았지만, 국내에서 공부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국내에서 공부해 가장 높은 지식수준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당시 우리나라의 문화적 기반이 그만큼 발전되어 있었음을 반영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생애 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최승로가 광종 때에 무엇을 했느냐 하는 점이다. 『고려사』 최승로전(崔承老傳)에는, 연령상 가장 정력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시기인 20대 초에서 40대 말까지의 생애를 보낸 광종 때에 문병(文柄)을 맡았다는 기사가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학사직(學士職)으로 비록 소극적이나마 정치에 참여했으리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광종의 정치에 어느 정도 깊이 참여했는지에 관해서는 의문이다. 아마, 후주(後周) 출신 쌍기(雙冀)의 등장으로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경종을 거쳐 982년(성종 1)에는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正匡行選官御事上柱國)으로 행정에서 중요한 직위를 맡게 되었다. 그 해 6월, 성종은 경관(京官) 5품 이상에게 각각 봉사(封事)를 올려 당시의 정치나 행정의 득실을 논하게 하였다.

그러자 최승로는 태조에서 경종에 이르는 다섯 왕의 치적평(治績評)과 함께 북계(北界)의 확정과 방위책, 공덕재(功德齋)의 폐지, 승려의 궁중 출입금지와 왕의 불법숭신(佛法崇信)의 억제 등 불교의 폐단에 관한 건의문과 그 밖의 사회문제 및 대중국관(對中國觀) 등 28조에 달하는 시무(時務)를 올렸다.

이는 유교적 정치이념에 입각한 치세의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당시 실시된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가운데 22개조가 현재 전해지고 있다.

이에 성종은 크게 공감하고 당시 실시된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반영하였다. 또한, 이 상서문은 정치사상과 고려 초기의 역사적 상황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 방면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최승로는 상서문을 올린 직후부터 어린 성종의 정치보좌관으로서 활약하였다. 그래서 983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영전되고, 988년에는 문하수시중(門下守侍中)으로 청하후(淸河侯) 로 봉해져 식읍(食邑) 700호(戶)를 받았다. 그 뒤 여러 차례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간청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상훈과 추모

989년에 죽으니 성종이 몹시 슬퍼하고, 포(布) 1,000필, 면(麪) 300석, 갱미(粳米) 500석 등을 내려 그 훈덕(勳德)을 포상하였다. 성종의 이와 같은 지극한 배려를 통해서도 최승로가 성종 대에서 차지한 정치적 비중이 얼마나 컸던가를 엿볼 수 있다.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998년(목종 1)에 성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1033년(덕종 2)에 대광 내사령(大匡內史令)이 더해졌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최승로의 시무이십팔조」(김철준, 『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 1965;『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고려초기 최승로의 정치사상연구」(하현강, 『이대사원』 12, 1975)
「신라통일기 및 고려초기의 유교적정치이념」(이기백, 『대동문화연구』 6·7 합집,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