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클락새 ( 클락새)

목차
동물
생물
개성시 박연리에 있는 크낙새.
이칭
이칭
개성 크낙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성시 박연리에 있는 크낙새.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33호. 박연리에서 남쪽으로 2㎞ 정도 올라가면 대흥산성이 있다. 이 대흥산성은 고려시대 때 만들어진 것으로 이 산성내의 천마산 줄기에 크낙새가 번식하고 있다.

대흥산성 내의 마을 이름은 산성동이라고 하는데, 병풍처럼 둘러선 층암바위들과 함께 소나무 · 참나무 · 단풍나무 · 오리나무 · 밤나무들이 골짜기에 빽빽이 들어서 있어 원시림을 이루고 있다.

북한에서는 클락새라고 하고 남한에서는 크낙새라고 부른다. 크낙새는 딱다구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국제적 보호새이다. 몸길이는 약 46cm이며, 암수의 깃털은 약간 다르다. 수컷은 이마, 머리꼭대기, 뒷머리가 진한 붉은 색이며, 암컷은 검은 색으로 되어 있다.

수컷의 뺨선은 어두운 붉은 색이고 암컷 또한 검은 색이다. 암컷과 수컷의 아랫등허리 · 위꼬리덮깃 · 가슴, 윗배는 흰색이며, 그밖에는 모두 검은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진한 회색이다.

주로 밤나무 · 전나무 · 잣나무 · 소나무 등이 우거진 어두운 숲 속에서 산다. 둥우리는 큰 나무의 자연 구멍 속을 이용하여 5∼6월경에 3∼4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로는 곤충류의 딱정벌레를 즐겨 먹는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