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구황동 금제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황복사금제여래입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높이 14㎝.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34년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낭산(狼山)의 동북쪽 기슭에 있는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을 해체 복원하면서 나온 사리함 속에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국보, 1962년 지정)과 함께 발견되었다.

내용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함 뚜껑 안쪽에 새겨져 있는 기명(記銘)에 의하면 탑은 692년(효소왕 1)에 세운 것이며, 그 뒤 706년 6치[寸] 크기의 전금미타상(全金彌陀像) 1구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및 불사리 4과를 함께 넣었다고 하나, 실제로 발견된 유물은 좌상과 입상의 불상 2구였다.

그중 이 불입상은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머리는 소발(素髮)에 육계(肉髻)는 높지 않으나 큼직하다. 머리 뒤에는 보주형(寶珠形) 두광이 꽂혔는데, 한가운데 연꽃을 중심으로 불꽃 모양이 정교한 맞뚫림조각[透彫]으로 되어 있다. 얼굴은 갸름한 편이나 두 볼에 살이 올라 있고,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며 콧날은 날카롭고 입가에 엷은 미소를 띠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없고 어깨는 약간 좁은 편이다. 양어깨와 앞가슴을 모두 덮은 통견(通肩)의 법의는 매우 투박한 느낌을 주며, 상의 정면을 축으로 하여 여러 겹의 U자형 주름이 나 있고, 하반신에 걸친 군(裙)의 끝이 좌우로 약간 퍼져서 고식(古式)을 지니고 있다.

불상의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고, 왼손은 법의의 자락을 움켜쥐고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인도의 불상에서 흔히 보이는 형상으로 중국이나 우리 나라의 예에서는 매우 드문 편이다. 대좌는 따로 만들어 끼운 것으로 겹겹의 연잎이 아래로 향한 연화대좌로 그 밑에 다시 12각의 받침이 붙어 있다.

이 금제불입상은 경주 남산 배리 삼존석불입상의 본존상과 같은 삼국시대 말기의 불상 형식에서 좀더 발전한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새로운 불상 양식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 새로운 불상 양식의 특징으로는 머리와 신체의 비례가 어느 정도 맞게 된 것과 법의의 앞 주름이 여럿으로 늘어나는 표현 방식 등이다.

이와 비교될 수 있는 통일신라 초기의 예로는 경주 남산의 사제사(四祭寺) 터라고 알려진 곳에서 발견된 석조불입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불상은 탑에서 함께 발견된 좌상보다 양식적인 면에서 고식을 보이므로, 706년에 넣었다는 아미타상이라기보다 692년에 탑을 건립할 때 넣은 불상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여래입상은 연대가 거의 확실한 7세기 말의 왕실 봉납의 불상으로 신라시대 불상 연구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참고문헌

「경주낭산동록삼층석탑내발견품(慶州狼山東麓三層石塔內發見品)」(이홍직, 『한국고문화논고』, 1954)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이·삼문제」(김원룡, 『아세아연구』 7-3,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4)
집필자
김리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