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선산읍 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신라시대의 보살상.
정의
신라시대의 보살상.
개설

1976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6년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면 봉한2동 산에서 사방공사를 하던 중, 다른 금동보살입상 1구(국보, 1976-1 지정), 금동여래입상 1구(국보, 1976-2 지정)와 함께 출토되었다. 속전(俗傳)에 의하면, 70여 년 전 어느 농부가 부근의 ‘대밭골’이라는 곳에서 발견하여 보관하다가, 수년 뒤에 출토 지점에 다시 묻은 것이라 한다. 원 발견지로 추정되는 대밭골 뒷산은 삼국시대의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들이 많이 출토된 곳이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사이에 이룩된 절터로 추정된다. 이때 함께 발견된 세 불상은 각각 다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함께 발견된 세 불상 중 이 금동보살입상이 가장 화려하다. 이 불상은 꼿꼿이 선 자세로 정면을 똑바로 향하고 있다. 머리에는 화관(花冠)을 썼고, 그 정면의 원형 테두리 안에는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어 이 불상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얼굴은 약간 길고 네모지며 볼에 살이 많이 붙어 있다. 미소를 약간 띠고 있으나 엄숙한 표정이다.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드리워졌다. 목은 길고 굵으며 삼도(三道)가 나타나 있다. 어깨는 넓은 편이어서 근엄하고 약간 딱딱한 느낌을 준다.

이 시기의 우리나라 보살상으로서는 매우 보기 드물게 번잡한 장신구들을 지니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목에는 복잡한 목걸이가 걸리고, 어깨로부터 늘어진 구슬 목걸이[瓔珞]가 배 부분의 원형 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되어 드리워졌다. 이 구슬 목걸이 장식의 원형 연결 부분마다 다른 구슬목걸이들이 걸쳐 있다.

상체에는 팔 쪽으로 천의(天衣)가 걸쳐져 있으며, 가슴 근육이 사실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내려서 구슬 목걸이 장식을 가볍게 잡았다. 왼손은 윗부분이 떨어져 나갔으나 정병(淨甁)이나 연화를 들고 있었던 듯하다. 뒷면에도 복잡한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유실되었지만 광배 꼭지가 뒷머리에, 두발 밑에는 촉이 달려 있다.

의의와 평가

양식적으로 보면, 이 불상은 중국의 북주(北周, 557∼581년)에서 수나라(581∼618년)시대로 이어져 발달한 양식과 연결된다. 그래서 제작 시기가 대략 7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불상은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불상 전체가 어딘지 근엄하다. 그리고 당당하면서도 경직된 얼굴 모습, 매우 번잡하고 화려한 이례적인 장신구 표현 등은 이 시기의 우리나라 금동불상으로는 매우 특이한 것이다. 아무래도 중국적 요소가 약간 강하게 작용한 것 같다. 이 불상에 나타난 복잡한 장신구는 8세기에 제작된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상의 형식과 유사하여 매우 흥미롭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불교조각』(국립중앙박물관, 1990)
『문화재대관』1 국보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선산 봉한이동 출토 금동여래·보살입상 발견시말」(강인구, 『고고미술』129·130, 한국미술사학회, 197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리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