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천동 사방불 탑신석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동천동 사방불 탑신석
경주 동천동 사방불 탑신석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탑신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동천동사방불탑신석(慶州東川洞四方佛塔身石)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동천동 770-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탑신석.
내용

현재 높이 약 82㎝.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신석 네 면에 여래좌상이 새겨져 있다.

이곳은 흔히 ‘동천동 사지(寺址)’로 불리는 곳으로 탑신석의 주변에 또 다른 석탑재와 장대석(長臺石)이 남아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의 기와 조각과 고려청자 조각이 흩어져 있다.

네모진 탑신의 좌우 끝에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를 얕게 새기고, 그 중앙에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갖춘 여래좌상 1구씩을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사방불(四方佛)을 표현하였다.

사방불은 법계(法界)를 압축하여 형상화한 것으로, 이처럼 석탑의 초층 탑신 네 면에 새긴 사방불은 8세기 중엽 이후에 유행한다. 그 선구는 남산 칠불암(七佛庵) 마애삼존불 앞의 석주(石柱) 사방불이다.

동면은 면을 내만(內灣 : 안으로 쑥 들어옴)되게 다듬어 부조(浮彫 : 돋을새김)하였기 때문에 네 면 가운데 볼륨이 가장 크고 조각도 뚜렷하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한 줄 선으로 새긴 타원형의 신광으로 가장자리에 굵직한 불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좌상은 우드야나식의 통견의(通肩衣 : 어깨에 걸쳐진 옷)를 걸쳤으며 가운데서 한 번 접혀져 반전하는 목깃의 표현도 자연스럽다.

오른손은 어깨 쪽으로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였고 왼손은 불분명하지만 그 윤곽으로 보아 복부에 올려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동면 여래상은 칠불암의 석주 사방불과 같이 오른손으로 설법인을 맺고 왼손에 약단지(藥壺)를 든 약사여래상일 가능성이 있다.

서면은 조각이 얕아 평면적이다. 좌상은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친 촉지인(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여래좌상이다. 광배는 무늬 없는 이중의 원형 두 · 신광이다.

남면 여래상은 마멸이 심해 세부가 불분명하지만 법의는 통견이며 양손을 가슴에 모아 마치 석가여래의 초전법륜인(初轉法輪印)을 연상케 한다.

거신광(擧身光 : 부처나 보살의 온몸에서 나오는 빛)의 광배는 윗면이 잘록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불꽃무늬가 베풀어져 있다. 북면의 여래상은 양팔을 복부 쪽으로 구부린 좌상이지만 마모가 심하고 조각이 얕아 세부가 불분명하다. 광배는 서면과 동일한 형태의 원형 두 · 신광이다.

옥개석에 새겨진 연꽃잎무늬는 서로 동일한 형식의 겹잎이지만 반면 북면의 그것은 이중의 꽃잎 속에 다시 고사리 모양의 화려한 꽃무늬가 새겨져 있어 다른 면과 구별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옥개는 탑신과 한 몸으로 조각되었는데, 신라 일반형 석탑에서 보는 층급받침이 없고, 추녀는 직선형이다. 낙수면 전면에 큼직한 연꽃무늬를 새겼다.

층급받침이 퇴화되고 갑석(甲石)이나 옥개석에 연꽃무늬를 새긴 석탑은 고려시대에 흔히 나타난다. 하지만 이처럼 낙수면에 연꽃무늬를 새긴 예는 보기 어렵다. 이 탑신석은 특이한 형식의 옥개석과 사방불의 양식에 비추어 통일신라 9세기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경주동천동일명사지 석조물에 대한 고찰」(정영호, 『문화재』 11, 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