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열암곡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열암곡 석불좌상 정측면
경주 열암곡 석불좌상 정측면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열암곡석불좌상(慶州列岩谷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산12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108㎝.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남산 배운골(白雲溪)의 동쪽 지류인 새갓골 절터에 있다. 흔히 열암골 석불좌상으로 부르지만, 열암골은 새갓골의 서쪽 지류인 양조암골에 해당되므로 새갓골이 정확한 명칭이다. 현재 머리는 없어졌고 불상 주위에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와 대좌가 흩어져 있다.

불신은 화강암의 석불로서는 표면 구조가 매끄럽고 굴곡이 뚜렷한 가슴의 윤곽과 곧게 편 당당한 상체에서 석굴암 조각으로 대표되는 신라 전성기 조각의 여운이 느껴진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의(通肩衣 : 어깨에 걸쳐진 옷)이다. 오른쪽 어깨에서 드리워진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 자락을 바로 내려뜨리지 않고 가슴의 옷깃 속에 살짝 여며 넣었다. 왼쪽 어깨에서 드리워진 옷깃은 중간에서 한 번 접혀져 물결처럼 너울거린다.

가슴의 목깃 사이로 내의인 엄액의(掩腋衣 : 大衣 안에 윗內衣로 입던 옷으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걸쳐 입는다)와 가슴 띠가 비스듬히 새겨져 있다. 양손은 신체 비례에 비해 커서 둔중한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가만히 복부에 올려놓았고, 왼손은 가부좌(跏趺坐)한 무릎 밑으로 곧게 내려 촉지인(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을 맺었다.

가부좌한 하체도 폭이 넓어 안정감을 주지만 석굴암 본존불에서 보았던 양다리 사이의 부챗살 옷주름은 표현되지 않았다. 양팔과 가부좌한 발목에 새긴 옷주름은 층단 또는 융기선으로 입체감을 주었지만 폭이 일정하여 통일신라 후기 조각의 전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조형적 특징은 남산 용장골 입구의 절골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에서도 나타난다. 두 석불은 흡사 같은 조각가의 작품으로 느껴질 정도로 착의법(着衣法)과 신체 모델링(modelling)이 꼭 같다.

조각이 다소 얕아 유려한 느낌을 주는 앞면과는 달리 뒷면에는 어깨 뒤로 넘긴 옷자락이 간결하면서도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옷자락의 주름은 서로 높낮이를 달리하면서 강한 명암 효과를 가져다 준다. 불상 주위에 무너진 대좌는 강한 입체의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둥글고 부드러운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새겨진 전형 형식의 삼단 대좌로 현재 중대석은 없어졌다.

동강난 광배는 불꽃무늬 · 덩굴무늬 · 보상화무늬(寶相花文) · 구름무늬 · 화불(化佛) 등이 유려한 곡선으로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당당함을 잃지 않은 신체 모델링과 안정된 자세 등에서 신라 전성기 조각의 여운을 잇고 있다. 하지만 세부 조각이 얕고 광배가 화려한 장식성을 띠는 점에서 조성 시기는 8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