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침식곡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침식곡 석불좌상 정면
경주 침식곡 석불좌상 정면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불상.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불상.
내용

불상높이 95㎝.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봉수골 정상의 봉수대쪽에서 남쪽으로 흘러가는 지류의 골짜기가 심수골로 석불은 이 골짜기의 평지에 위치한 석수암 절터에 있다.

석불은 석굴암 본존불의 형식을 이은 신라 말기의 촉지인(觸地印) 여래좌상으로 머리와 광배가 없어졌지만 전형 형식의 삼단대좌를 갖추고 있다. 목에 삼도(三道)가 뚜렷하며, 신체는 건장하며 어깨가 넓고 가슴이 벌어졌지만 8세기 중엽 조각의 생동감을 잃고 매너리즘에 빠졌다.

대의는 편단우견(偏袒右肩)으로 착용하였지만 옷주름은 금속판을 포개놓은 듯 폭이 넓고 경직되어 살결없는 몸매를 더욱 빈약하게 한다. 왼손은 복부 중앙에서 벗어나 오른쪽 옆구리까지 뻗쳐 있으며, 촉지인을 맺은 오른손도 곧게 편 형식이 아니라 무릎을 누르고 있어 불합리하다.

양다리 사이의 부채살 주름도 불신(佛身)과 한 몸으로 조각되어 석굴암 본존불로 대표되는 편단우견의 촉지인여래좌상의 양식이 완전히 매너리즘에 빠졌음을 보여준다. 뒷면에는 왼쪽 어깨 뒤로 넘긴 옷자락이 곧게 흘러내려가다 무릎 쪽으로 굽이친 모습이 비교적 뚜렷하고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팔각의 중대석은 동강난 것을 결합한 것으로 모서리기둥[隅柱]이 조각되지 않아 안정감이 없으며, 하대석은 꽃잎 내부에 무늬가 없는 소박한 복련좌(覆蓮座)이다.

반면 상대석은 지나치게 무겁고 두 겹의 연꽃잎도 비대해서 균형을 잃은 모습인데, 꽃잎 중앙에 다시 둥근 무늬를 새긴 연꽃잎의 형식은 남산 용장계(茸長溪)에서 옮겨온 석조약사여래좌상의 그것과 꼭 같다.

광배는 실제 모습을 알 수 없으나 佛身과 대좌에서 드러나는 단순화 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광배의 장식 또한 간소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침식곡 석조여래좌상(이하 침식곡상)과 유사한 양식을 보이는 상으로는 서울 종로구 석불좌상, 봉화 오전리 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참고문헌

「통일신라말기 석조여래좌상 연구」(이현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