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소세량의 곤암문집 중 권수면
소세량의 곤암문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소세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4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소세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4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활자본. 1746년(영조 22) 초간되었던 것을 대본으로, 1927년 후손 학규(學奎)·현규(現奎)·상규(尙奎) 등이 전주 영모재(永慕齋)에서 증보, 중간하였다. 권두에 전우(田愚)의 서문과 권말에 학규·상규의 발문이 있다. 권두에 그가 영남도사로 떠날 때 김정국(金正國)이 지은 「송소원우좌막영남서(送蘇元友佐幕嶺南序)」가 있고, 그 뒤에 후손 응천(凝天)의 지(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237수, 서(書) 1편, 서(序) 1편, 제문 2편, 묘지 1편, 부록으로 묘갈문 1편, 유사 1편, 화강일고(花江逸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남관백설(藍關白雪)」·「과장사(過長沙)」·「의주회암별채원정적도주(擬朱晦菴別蔡元定謫道州)」 등은 기묘사화 때 많은 명현들이 화를 입은 것을 슬퍼하여 지은 것이다. 박상(朴祥)·김정(金淨) 등 당시의 명현들과 수작한 시가 여러 수 있고, 「대전입춘첩자(大殿立春帖子)」·「영상첩자(迎祥帖子)」 등 대궐에서 지은 시가 여러 수 있으며, 그의 동생 세양(世讓)과 창수한 시가 매우 많다.

의의와 평가

16세기 초의 간 출신의 문집으로, 기묘사화의 일면을 이해하고 그의 주변인물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