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담문집 ()

목차
관련 정보
국담문집
국담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하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대 초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하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대 초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저자의 손자인 치룡(致龍)에 의해 편집되었던 것을 1900년대 초 현손 황원(滉源)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내석(鄭來錫)·유주목(柳疇睦)·이만각(李晩慤) 및 저자의 생질인 권상(權0x9669)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현손인 황원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2수, 만(挽) 19수, 권2에 서(書) 2편, 서(序) 4편, 잡저 5편, 제문 6편, 행장 3편, 설(說) 1편, 권3은 부록으로 서(序) 3편, 시해(詩解) 1편, 조문(弔文) 2편, 행장·묘갈명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한중사회(閒中寫懷)」는 그가 만년에 임천(林泉: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한가로이 독서를 하면서 은일적인 생활을 읊은 것인데, 정약용(丁若鏞)이 이를 차운(次韻)한 시도 있다. 「생조(生朝)」는 그의 생일에 부모가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고 차마 주연을 베풀 수 없다 하여 국화전(菊花煎)을 부쳐 먹으며 부모를 생각하는 심정을 읊은 시이다. 그와 같은 작품들을 통하여 저자의 지극한 효성을 엿볼 수 있다.

서(序) 중 「주자서절요소선서(朱子書節要小選序)」는 이황(李滉)이 엮은 『주자서절요』에서 다시 수십 편을 뽑아 『주자서절요소선』을 만들었는데, 그에 대한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설의 「도서연의설(圖書演義說)」은 「하도(河圖)」·「낙서(洛書)」를 문답식으로 설명한 것이다. 먼저 「하도」와 「낙서」의 의의를 설명하고, 「낙서」 중 변역(變易)하고 변역하지 않는 이유 등을 논변하였는데, 특히 「하도」의 일육(一六)과 삼팔(三八)의 위치가 변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음양과 강유(剛柔)의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