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경변상도 ()

목차
회화
작품
일본 아이지현(愛知縣)린쇼사(隣松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본 아이지현(愛知縣)린쇼사(隣松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
내용

1323년(충숙왕 10)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14㎝, 가로 112.5㎝.

내시(內侍), 호장(戶長) 등의 유력민과 양주(楊州)의 향도(香徒)들이 참여한 이 관경십육관변상도는 아미타 신앙의 대중화를 의미하는 동시에, 1관∼16관에 명문이 있기 때문에 복잡한 도상의 내용을 확실하게 알려 주는 기준 작이다.

영혼의 극락왕생을 위해 조성된 이 관경십육관변상도는 관경서분변상도와 함께 봉안되어 관경변상도라고 한다. 그러나 관경십육관변상도가 망자 천도(亡者遷都)를 목적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극락에 가고자 하는 원인이 그려진 관경서분변상도와 함께 제작되지 않아도 그 의미는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화면 중심축에 강조된 아미타불좌상인 제9 불색신관(第九佛色身觀)의 좌우로 제10 관세음관(第十觀世音觀)과 제11 대세지관(第十一大勢至觀)이 배치된 것으로 미루어, 아미타불이 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극락회 장면이다. 이 아래, 아미타불일행이 염불왕생자를 맞이하는 구품 연못인 14관∼16관이 펼쳐져 있다.

아미타극락회의 아미타불좌상을 중심으로, 머리·손·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 등을 살펴본다면 머리의 중앙 계주(中央髻珠)는 적당한 크기로, 조선 초의 강조된 중앙 계주와는 구별된다.

엄지와 중지를 맞댄 왼손은 가슴에 두었다. 내의(內衣)인 승각기를 묶는 장식 등 안정감 있는 아미타불의 형태는 14세기 전반기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화려한 채색 위로 덧 그려진 섬세한 금선(金線)은 유려하여, 금선묘(金線猫)와 채색화를 함께 보는 듯하다. 붉은색과 부드러운 녹색, 청색에 가까운 감색·갈색·흰색 등 밝은 색조가 엷은 녹색을 배경으로 전면에 깔린 파스텔 톤이 돋보인다.

상징적인 1관∼7관은 다음과 같다. 전각(殿閣)과 삼족오(三足烏)가 함께 그려진 붉은 해는 화면의 꼭대기를 장엄하여 극락을 비추는 듯한 일몰관(日沒觀)이다.

이 아래 물이 묘사된 제2 수관(第二水觀)과 금줄로 엮어진 녹색의 극락 땅인 제3 지관(第三地觀), 일렬로 늘어선 극락의 화려한 나무인 제4 수관(第四樹觀), 학·공작·앵무새·가릉빈가(迦陵頻伽 : 불경에 나타나는 상상의 새) 등 극락새로 채워진 극락의 연못인 제5 지관(第五池觀)과 훌륭한 아미타전각인 제6 총관(第六摠觀), 제7 화좌관(第七華座觀)은 보개(寶蓋)를 갖춘 대좌(臺座)를 의미한다.

즉 서쪽으로 지는 태양을 전심하여 상념함으로서 마음을 통일하여 수관을 분명하게 관찰하면 삼매(三昧)를 얻어 비로소 불토(佛土)를 보게 된다는 1관∼13관의 명상을 통한 왕생극락과 임종 때 지심으로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면 면죄받아서 극락왕생한다는 염불왕생(14관∼16관)이 경전에 충실하게 모두 나타난 고려시대 불화이다.

염불왕생이 강조된 조선시대의 관경십육관변상도와 구별된다. 붉은 바탕에 은니(銀泥)로 쓴 화기(畫記)는 조성 배경을 말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여말선초 관경십육관변상도」(유마리, 『미술사학연구』 208, 한국미술사학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